더파워

2025.07.23 (수)

더파워

현대차그룹, 중남미서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활동 펼쳐

메뉴

산업

현대차그룹, 중남미서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활동 펼쳐

이지숙 기자

기사입력 : 2022-11-02 09:33

사진=지난달 28일(현지 시간) 파라과이 아순시온 대통령 궁에서 장재훈 현대차 사장(사진 오른쪽 두번째)이 마리오 압도(Mario Abdo) 대통령(사진 가운데)을 비롯한 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관련 간담회를 갖고 있고 있다.
사진=지난달 28일(현지 시간) 파라과이 아순시온 대통령 궁에서 장재훈 현대차 사장(사진 오른쪽 두번째)이 마리오 압도(Mario Abdo) 대통령(사진 가운데)을 비롯한 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관련 간담회를 갖고 있고 있다.
[더파워=이지숙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중남미 3개국에서 부산세계박람회의 미래비전과 중남미 국가들의 지속가능한 미래성장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주력하며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지를 요청했다.

현대차그룹은 2일, 장재훈 현대차 사장이 지난달 26일(현지 시간)부터 5박 6일 간 바하마, 파라과이, 칠레를 잇따라 방문해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활동을 펼쳤다고 밝혔다.

장재훈 사장은 이번 방문에서 대통령과 총리 등 최정상급 인사를 두루 만나 실질적인 득표활동을 전개했다.

장재훈 사장은 10월 28일 파라과이 아순시온 대통령 궁에서 마리오 압도(Mario Abdo) 대통령과 훌리오 세자르 아리올라(Julio César Arriola) 외교부 장관, 페드로 만꾸에조 페레즈(Pedro Mancuello Pérez) 상공부 차관 등을 예방하고, 부산에서 2030 세계박람회가 개최될 수 있도록 지원과 협조를 부탁했다.

이 자리에는 우인식 주파라과이 한국대사도 참석해 부산이 2030년 세계박람회 개최에 최적의 도시라는 점을 강조했다.

26일에는 바하마 나소 총리실에서 필립 데이비스(Philip Davis) 총리와 알프레드 마이클 시어스(Alfred Michael Sears) 공공사업부 장관, 로다 잭슨(Rhoda Jackson) 외교부 국장 등 바하마 정부 고위급 인사들과 면담을 갖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과 교통·물류·문화 허브로 도약하고 있는 부산의 경쟁력을 설명하며 세계박람회 후보지로서 부산의 적합성을 알렸다.

다음 날에는 칠레 산티아고의 경제부 청사를 방문해 살바토레 디 조반니 (Salvatore de Giovanni) 칠레 투자진흥청 유치본부장과 카를라 플로레스(Karla Flores) 투자진흥청 전무이사 등을 만나 부산 유치 활동을 이어갔다.

파라과이와 칠레의 경우 지난 9월 말 현대차그룹 권역본부 차원의 방문에 이어 한달 만에 재방문한 것으로, 한국의 부산세계박람회 개최 의지를 보여주는 시간이 됐다.

지난 9월 말 이수영 기아 중남미권역본부장과 박철연 현대차 중남미판매실장이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원을 위해 각각 칠레와 파라과이를 방문한 바 있다.

장재훈 사장은 이번 방문에서 최근 중남미 국가들이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한국은 친환경 모빌리티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스마트시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중심에 있음을 강조하고, 부산세계박람회를 통한 미래 협력의 시너지가 상담함을 설명했다.

또한 부산의 세계적인 관광 인프라와 함께 아시안게임과 APEC 정상회의 등 대형 국제행사 개최 경험을 소개하는 한편, K-컬처를 통해 글로벌 문화교류의 허브역할을 하고 있는 부산만의 차별화된 강점을 부각했다.

부산세계박람회는 기후변화와 불평등 등 인류가 직면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인식아래, 주제를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로 설정했다.

특히 자연친화적인 삶과 기술혁신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고 글로벌 이슈 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장재훈 사장은 방문 국가들과 현대차그룹 간 협력방안에 대해서도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

장재훈 사장은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및 수소전기차 부문 글로벌 리더십에 대해 설명하고, 이들 국가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친환경차 보급과 인프라 구축, 수소 등의 친환경에너지 개발 등에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협의했다.

이어 방문 국가들의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교육과 문화, 의료, 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사회공헌사업 가능성도 논의했다.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국내외 붐 조성을 위해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링크드인 등 현대차그룹 공식 SNS 채널을 활용해 부산의 경쟁력과 미래비전 등을 담은 콘텐츠를 영문과 국문으로 제작해 지속 발행하고 있다.

부산세계박람회 글로벌 홍보 콘텐츠는 숏폼영상, 카드뉴스 등 다양한 형태로 발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노출 수가 5천 7백만을 넘어서는 등 전세계 네티즌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이지숙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9.94 ▼40.87
코스닥 812.97 ▼8.72
코스피200 428.05 ▼6.51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167,000 ▼237,000
비트코인캐시 699,500 ▼8,500
이더리움 4,988,000 ▼43,000
이더리움클래식 32,100 ▼340
리플 4,800 ▼30
퀀텀 3,362 ▼4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148,000 ▼204,000
이더리움 4,995,000 ▼36,000
이더리움클래식 32,130 ▼290
메탈 1,142 ▼16
리스크 664 ▼7
리플 4,800 ▼23
에이다 1,195 ▼9
스팀 21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2,180,000 ▼210,000
비트코인캐시 700,500 ▼7,500
이더리움 4,990,000 ▼45,000
이더리움클래식 32,030 ▼380
리플 4,803 ▼29
퀀텀 3,373 0
이오타 3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