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경제한파 내년에도 이어져...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1%대 전망"

메뉴

경제

경제한파 내년에도 이어져...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1%대 전망"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2-11-07 15:05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글로벌 통화긴축 영향에 따른 경기침체가 본격화하면서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도 1%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격랑의 한국경제, 전망과 진단'이라는 주제로 '2023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권태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개회사에서 "한국경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과다한 민간부채 등으로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정부지출을 늘리기에는 재정 건전성이 문제고 금리를 낮출 수 있는 여건도 안되기 때문에 거시정책 카드가 마땅치 않다"고 말했다.

이날 '2023년도 한국경제 전망'에 대한 주제발표를 맡은 조동철 KDI 교수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현재(2022년 8월 기준) 2.1%이지만, 전망치를 1%대로 낮출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조 교수는 "IMF 등 국제기구들이 내년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이후 수출 위주의 회복세를 보인 한국경제에 좋지 않은 여건"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수출 증가세 축소와 가계부채 부실화에 따른 민간소비 둔화를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하향 조정의 대표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수출의 경우 "글로벌 경기 침체의 여파로 증가율이 상당폭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코로나19 방역완화 등 긍정적 요인이 있으나, 가파른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 취약계층들의 한계상황 직면, 주택가격 조정 등 리스크 요인이 크다"고 우려했다.

'미국 통화긴축에 따른 금리와 환율 전망'으로 발제한 박석길 JP모건 금융시장운용부 본부장은 "내년 초 미국 정책금리 상단은 4.75%, 한국 기준금리는 3.7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원화 가치는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박 본부장은 "미국이 당분간 통화긴축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은행도 미국과의 과도한 금리 차이를 방지하기 위해 11월부터 향후 세 차례의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25%p씩 올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환율과 관련해서는 "주요 교역국의 통화 약세가 지속되고 무역수지 회복 속도도 더딜 것으로 보여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는 원화 가치가 약세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날 세미나에선 산업별 전망도 내놨다.

산업별로 반도체산업은 D램은 내년 하반기, 낸드는 내년 2분기 중에 업황이 바닥을 찍고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소비 위축으로 자동차 수요가 하향 정체함에 따라 재고·인센티브가 상승하고 업종 손익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조선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에 따른 신조선가 상승이 2분기까지 실적 개선을 견인하고, 3분기부터는 글로벌 에너지 수요 회복과 중국 정유공장 가동률 상승에 따른 탱커 발주 재개에 힘입어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철강 역시 주택거래 위축과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수요 부진이 예상돼 이들 3업종은 '혼조세'로 평가됐다. 석유화학은 높은 에너지 가격과 수요 위축 등으로 부진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권태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위기를 헤쳐 나가기 위한 해법은 불합리한 규제 혁파, 세계 최하위권인 낙후된 노동시장 혁신, 국회에 계류 중인 법인세 개정안의 조속한 통과 등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14,000 ▲227,000
비트코인캐시 692,000 ▼1,000
이더리움 3,99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20
리플 3,715 ▼13
퀀텀 3,05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50,000 ▲170,000
이더리움 3,99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590 ▼70
메탈 1,068 ▼4
리스크 606 ▼1
리플 3,720 ▼9
에이다 960 ▼2
스팀 19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80,000 ▲260,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1,500
이더리움 3,994,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590 ▼50
리플 3,716 ▼12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