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지난달 취업자 67만명↑... 5개월째 증가폭 둔화

메뉴

경제

지난달 취업자 67만명↑... 5개월째 증가폭 둔화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2-11-09 10:11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달 취업자 수가 67만명 이상 늘었지만 5개월 연속 증가 폭은 둔화했다. 경기가 위축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고용시장 마저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41만8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7만7000명 증가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1999년(96만6000명) 이후 23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취업자 증가세는 지난해 3월 이후 20개월째 이어지고 있으나 최근 취업자 흐름을 보면 둔화 양상이 뚜렷하다.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1월과 2월 100만명을 웃돌며 이례적인 호조를 보였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올해 취업자수가 좋지 않을 거라는 예측이 많았는데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다만 금리나 물가, 고환율 문제 등 외부요인이 많아 계속 이 흐름을 이어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5월(93만5000명) 이후로는 6월 84만1000명, 7월 82만6000명, 8월 80만7000명, 9월 70만7000명에 이어 10월까지 5개월 연속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40대를 제외하고 취업자가 모두 증가했다. 증가폭은 60세 이상에서 46만명으로 가장 컸다. 그 다음으로 50대(14만7000명), 30대(6만1000명), 20대(2만8000명) 순이었다. 40대 취업자는 1만1000명 감소했다. 40대의 경우 인구효과에 따라 고용률은 높지만 취업자가 감소하고 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취업자가 각각 20만1000명, 15만3000명 늘었다. 제조업 취업자는 12개월째 증가하고 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도 12만1000명 증가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는 2014년 10월(15만4000명) 이후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 취업자는 6만명 감소했다. 금융 및 보험업과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취업자도 각각 1만5000명, 7000명 감소했다.

취업 시간별로 보면 통상 전일제 근로자로 간주하는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 수가 1천373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279만4천명 감소했다.

반면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 수는 1천429만9천명으로 345만9천명 급증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2년 7월 이후 동월 기준 가장 많다.

지난달에는 한글날 등 대체공휴일이 조사기간에 포함되면서 36시간 미만 취업자수가 크게 늘었다.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429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345만9000명 증가했다. 이는 1999년 10월(96만6000명)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올해부터 대체공휴일에 쉬는 사업장 대상이 30인 이상에서 5인 이상으로 바뀐 것과 코로나19 이후 대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쉬는 사람이 많아진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실업자 수는 69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9만5천명 줄었다.

실업률은 2.4%로 0.4%포인트 감소했다. 집계 기준이 변경된 1999년 6월 이래 10월 기준으로 최저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19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42만8천명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육아는 14만5천명 줄고 '쉬었음' 등에서도 9만7천명 줄었으나, 연로(2만4천명), 심신장애(2만2천명) 등에서는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41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명 감소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68,000 ▲256,000
비트코인캐시 692,000 ▼1,000
이더리움 3,997,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10
리플 3,717 ▼7
퀀텀 3,05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50,000 ▲186,000
이더리움 3,997,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590 ▼50
메탈 1,064 ▼9
리스크 606 ▼1
리플 3,720 ▼7
에이다 959 ▼1
스팀 19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00,000 ▲320,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1,500
이더리움 3,995,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590 ▼50
리플 3,716 ▼9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