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우리나라 경제가 3분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과 OECD에 따르면 지난 3분기 한국 경제는 전 분기 대비 0.3%(속보치) 성장했다. 이는 OECD 회원국 평균(0.4%)보다 낮고 현재까지 분기 성장률이 발표된 29개국 중 중간(13위) 수준이다.
올해 들어 한국경제 분기 성장률이 OECD 회원국 평균에 못 미친 것은 처음이다. 우리 경제 성장률은 1분기 0.6%, 2분기 0.7%로 각각 OECD 회원국 평균인 0.3%와 0.5%보다 높았지만, 3분기 들어 역전됐다.
연간 성장률도 OECD 회원국 평균보다 낮을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OECD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회원국 평균(2.8%)보다 0.1%포인트 낮은 2.7%로 예상했다. 한국은행의 성장률 전망치는 2.6%이다.
1996년 OECD 가입 후 우리나라 성장률이 회원국 평균보다 낮았던 경우는 1998년과 지난해(밖에 없었다. OECD는 1998년에는 2.9%, 지난해에는 5.6% 성장했다.
OECD는 최근 우리 경제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1.8%를 제시했다. 지난 9월 전망치(2.2%) 대비 0.4%포인트(p) 하향 조정했다. 물가 상승과 고금리에 민간 소비가 제약되고 반도체 경기의 하강 등이 수출 둔화의 압력으로 작용해 성장률이 2% 아래로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반면 세계경제와 주요 20개국(G20)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기존의 2.2%를 유지했고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전망치는 0.3%에서 0.5%로 0.2%p 올려잡았다.
한국은행도 지난 24일 발표한 수정 경제 전망에서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7%로 0.3%포인트 낮췄다. 한은이 전망한 세계경제성장률은 연 2.2%였고 미국, 유로존, 중국, 일본은 각각 0.3%, -0.2%, 4.5%, 1.3%였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우리 경제는 글로벌 경기 둔화 등으로 잠재수준을 하회하는 성장 흐름이 이어지다가, 내년 하반기 이후에는 대외 불확실성이 줄어들면서 부진이 점차 완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