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유연수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총파업이 7일째로 접어든 가운데, 정부가 시멘트업에 이어 정유업에도 업무개시명령을 검토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화물연대 파업의 영향으로 유류제품 수송이 지연돼 기름이 동난 주유소가 전국에 총 23개소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오전 8시 기준으로 휘발유 품절 주유소가 22개소, 경유 품절이 1개소다.
지역별로는 서울 15개소, 경기 3개소, 인천 2개소, 충남 3개소에 달했다.
비상 수송으로 유류 제품을 꾸준히 공급함에도 현장에선 화물연대 파업 여파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저장용량 대비 판매량이 많아 평소에도 회전율 높은 일부 주유소의 타격이 크다. 이들은 수송 지연이 빚어지면서 휘발유나 경유 재고가 소진돼 영업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에 있는 휘발유 품절 주유소를 방문해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영향을 살피고, 긴급 수송 체계 가동 현황을 점검했다.
이 장관은 "일반 서민들의 생활에 지대한 불편을 끼칠 수 있는 현재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면서 "필요하면 시멘트 분야에 이어 정유 분야에도 업무개시명령 발동을 포함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정유공장, 저유소 등 주요 거점별 입·출하 현황을 모니터링해 수송 차질이 우려되는 경우 화물연대 미가입 차량 등을 활용한 비상수송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
또 품절 주유소 현황 정보를 이날부터 매일 오후 4시 오피넷을 통해 안내하고 재고가 없는 주유소는 네이버 지도, 티맵 등 지도서비스에 표시되지 않도록 조치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