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유연수 기자] 지난해 신혼부부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평균 자녀 수도 역대 최저를 기록했는데, 맞벌이이거나 무주택자일수록 평균 자녀 수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1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작년 11월 1일 기준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은 국내 거주 신혼부부는 110만1천쌍으로 1년 전보다 7.0%(8만2천쌍) 감소했다.
2015년 통계 작성 이래 규모는 가장 작고, 감소 폭은 비율과 감소한 커플 수 모두 가장 크다.
특히 혼인 1년 차 부부는 19만2천쌍으로 전년보다 10.4% 급감했다.
전체 신혼부부 중 87만1천쌍(79.1%)은 초혼이고 22만7천쌍(20.6%)은 재혼 부부였다.
자녀가 있는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54.2%로 전년보다 1.3%포인트 줄었다. 평균 자녀 수도 0.66명으로 0.02명 줄었다.
또, 초혼 신혼부부의 맞벌이 비중은 54.9%로 전년보다 2.9%p 상승했고, 연간 평균소득도 6400만원으로 전년보다 6.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대출이 있는 신혼부부 비중은 89.1%로 전년보다 1.6%p 올랐는데, 대출잔액 중앙값은 1억 5300만원으로 전년보다 15.4% 늘었다.
주택을 소유한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42.0%로 0.1%포인트 떨어졌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평균 소득은 7천235만원으로 무주택 부부(5천797만원)의 약 1.2배였다.
차진숙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인구 감소, 경제적·문화적 문제, 코로나19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혼인이 감소하고 출산율이 떨어진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