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21 (월)

더파워

이재용 회장, 베트남 R&D센터 준공식 참석... 글로벌 전략 거점 육성

메뉴

산업

이재용 회장, 베트남 R&D센터 준공식 참석... 글로벌 전략 거점 육성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2-12-23 12:45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2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의 삼성전자 법인(SEV)을 방문해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점검하는 모습./사진=삼성전자 제공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2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의 삼성전자 법인(SEV)을 방문해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점검하는 모습./사진=삼성전자 제공
[더파워 이경호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베트남 연구개발(R&D)센터 준공식에 참석했다.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로 건설한 베트남 삼성 R&D 센터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전략 거점 중심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23일 오전 하노이시 떠이호 THT 지구에서 이재용 회장과 노태문 MX사업부장(사장),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등 경영진과 오영주 주베트남 한국대사가 참석한 가운데 베트남 R&D 센터 개소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응우옌 쑤언 탕 호치민정치아카데미 원장, 찐 반 썬 베트남 총리실 주임장관, 휭 타잉 닷 베트남 과학기술부 장관, 오영주 주베트남 한국대사 등도 함께 했다.

또, 박항서 베트남 축구대표팀 감독과 미국·영국·인도 등 삼성전자의 주요 글로벌R&D센터 임직원들이 축하 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베트남 삼성 R&D센터는 글로벌 기업이 베트남에 세운 최초의 대규모 종합 연구소다. 대지면적 11,603㎡, 연면적 79,511㎡에 달한다. 2200여명의 연구원이 이곳에 상주하며 ▲스마트 기기 ▲네트워크 기술 ▲소프트웨어 등을 연구할 예정이다.

베트남 R&D센터는 2020년 3월 착공해 2020년 10월 토목공사 완료, 2021년 4월 지상 골조공사 시작, 2022년 11월 인테리어 마감 등을 거쳐 3여년 만에 완공됐다.

이곳은 지상 16층·지하 3층 규모로 건설됐으며 ▲최첨단 연구시설 외에 ▲피트니스 센터 ▲구내 식당 ▲옥상 정원 ▲동호회 공간 등 임직원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시설을 갖추고 있다.

삼성은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의 핵심 기술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무선 통신보안 분야 등에 특화해 베트남 R&D센터의 전문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은 올해 한국과 베트남의 수교 30주년을 맞아 설립됐다는 점에서 향후 양국 관계 증진의 이정표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날 센터 개소식에서 “삼성 R&D 센터는 베트남의 산업 경쟁력 강화는 물론 한·베 양국 간 우호협력 증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R&D센터 준공식 전후로 하노이 인근 삼성 사업장을 찾아 스마트폰 및 디스플레이 생산 공장을 살펴보고 사업 현황 및 중장기 경영 전략을 점검한 후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삼성은 1989년 하노이에 삼성물산 무역사무소를 설치하면서 처음으로 베트남에 진출했다. 1955년에는 호찌민에 삼성전자 법인을 설립해 TV 생산과 판매를 시작했다.

삼성의 베트남 투자는 2005년 이건희 선대회장과 판 반 카이 당시 총리의 하노이 회담을 계기로 급격히 늘었다.

이후 10여년 삼성전자를 필두로 삼성디스플레이(2014년), 삼성SDI(2009년), 삼성전기(2013년) 등 전자부문 계열사들이 속속 진출했다.

전자 계열사 외에도 삼성생명(2008년), 삼성화재(2002년), 삼성물산 건설부문(2013년), 삼성엔지니어링(2013년), 제일기획(2011년), 호텔신라(2015년) 등이 진출해 있다.

이를 통해 삼성은 베트남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며 양국 간 관계 강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제로 삼성은 2021년 베트남에서 수출 654억 달러를 기록해 베트남 총 수출(3천363억 달러)의 약 20%를 담당했다.

한편, 삼성은 글로벌 생산 기지인 베트남을 종합 연구개발까지 수행하는 글로벌 전략 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앞으로 2200여명의 연구원이 상주하며 스마트 기기, 네트워크 기술, 소프트웨어 등을 연구할 계획이다.

특히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의 핵심 기술인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무선 통신보안 분야 등에 특화해 베트남 R&D센터의 전문성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202.78 ▲14.71
코스닥 817.95 ▼2.72
코스피200 433.82 ▲2.7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50,000 ▼457,000
비트코인캐시 742,000 ▼6,000
이더리움 5,090,000 ▼32,000
이더리움클래식 33,140 ▼430
리플 4,684 ▼31
퀀텀 3,466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43,000 ▼510,000
이더리움 5,082,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33,110 ▼440
메탈 1,154 ▼3
리스크 661 ▼11
리플 4,676 ▼38
에이다 1,155 ▼15
스팀 21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10,000 ▼500,000
비트코인캐시 742,500 ▼7,000
이더리움 5,095,000 ▼25,000
이더리움클래식 33,140 ▼410
리플 4,680 ▼35
퀀텀 3,475 ▼11
이오타 32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