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21 (월)

더파워

2023년 가장 잘나갈 업종은? '제약·화장품'... IT·정유·화학·섬유'는 '한파' 수준

메뉴

산업

2023년 가장 잘나갈 업종은? '제약·화장품'... IT·정유·화학·섬유'는 '한파' 수준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1-04 11:59

기업들이 본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1.16%... 기관전망치(1.5∼2.0%)보다 '싸늘'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유연수 기자] 기업들이 바라보는 새해 한국경제의 전망이 한파만큼이나 싸늘한 가운데 가장 잘 나갈 업종은 제약과 화장품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254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업이 바라본 2023경제·경영전망'을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가장 '맑은 업종'은 제약, 화장품 , 전기장비 순이었으며 '한파가 예상되는 업종'은 비금속광물, 섬유, 정유·화학, IT·가전 순이었다.

제약은 코로나 특수가 이어지고 있고, 화장품은 중국 소비회복 기대감 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반면 원자재 비중이 높고, 글로벌 수요에 민감한 업종은 부진한 전망을 보였다. 식품, 자동차, 조선, 의료·정밀은 소폭이지만 매출 증가 전망이 나와 ‘약간 맑음’ 으로 분류됐고, 철강, 기계, 목재·가구는 소폭의 매출 감소 전망이 나와 ‘흐림’ 으로 분류됐다.

매출 전망치를 통한 새해 업종별 기상도/대한상공회의소
매출 전망치를 통한 새해 업종별 기상도/대한상공회의소

기업들이 전망하는 2023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1.16% 수준으로 집계됐다. 국내·외 기관들의 전망치가 1.5∼2.0% 수준인 것과 비교해보면 기업 현장에서 느끼는 경제여건이 더 좋지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高물가, 高금리의 어려움 속에 내수 위축의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기업들이 응답한 전망치는 1.0∼1.5% 구간이 30.6%로 가장 많았고, 1.5∼2.0% 구간은 28.8%, 0.5∼1.0% 구간은 15.4%였다. 마이너스 역성장을 전망한 기업도 8.8%였던 반면 3% 이상을 꼽은 기업은 0.4%에 불과했다.

새해 매출과 수출 실적이 작년과 비교해 어떨 것으로 전망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동일 수준'이라고 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지만 전체적으로는 ‘마이너스’ 구간을 꼽은 기업이 더 많아 가중평균값은 1%대 역성장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 전망의 경우, 33.1% 기업이 ‘동일 수준’을 전망했지만 (-)구간을 꼽은 기업이 34.5%, (+)구간을 꼽은 기업이 32.4%로 가중평균값은 –1.0%로 집계됐다.

수출 전망의 경우, 43.2% 기업이 ‘동일 수준’을 전망했지만 (-)구간을 꼽은 기업이 26.2%, (+)구간을 꼽은 기업이 30.6%로 가중평균값은 –1.3% 로 집계됐다.

작년 대비 2023년 매출 및 수출 전망 응답결과/대한상공회의소
작년 대비 2023년 매출 및 수출 전망 응답결과/대한상공회의소

경영실적 전망이 안좋은 만큼 투자도 보수적으로 운영한다는 답변이 많았다. 작년과 비교해 새해의 투자계획을 묻는 질문에 ‘작년과 동일 수준’이라는 응답이 53.5%로 가장 많았고, ‘작년보다 감소’라는 답변이 33.9%였다. 작년보다 투자를 늘린다는 기업은 12.6%에 그쳤다.

2021년말에 동일한 방법으로 전국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투자를 ‘작년보다 늘려 공격적으로 운영할 전망’이라는 답변이 41.6%였는데 불과 1년새에 29%p 감소한 것이다. 반대로 ‘작년과 동일하거나 감소한다’는 보수적 답변은 2022년 전망치인 58.4%에서 2023년 전망치인 87.4%로 크게 증가했다.

기업들은 새해 한국경제를 위협할 리스크 요인으로 3 高현상의 지속과 내수소비 둔화를 가장 우려하고 있었다. 기업들이 가장 많이 꼽은 리스크요인은 ‘高 물가 · 원자재가 지속’(67.3%)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내수경기 침체’(38.2%), ‘고금리 지속’(29.2%), ‘원부자재 수급 불안’(17.8%),‘ 고환율 장기화’(16.7%)순이었다.

이러한 리스크 요인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둬야할 과제로 기업들은 ‘경기상황을 고려한 금리정책’(47.2%)과 ‘환율 등 외환시장 안정’(42.6%)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자금조달시장 경색 완화’(32.2%), ‘규제혁신 통한 성장동력 확보’(21.7%), ‘수출 및 기업활동 지원’(21.3%), ‘공급망 안정화’(2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지금의 경제적 어려움은 코로나의 정상화 과정에서 전세계 모든 나라가 겪고 있는 문제인 만큼 누가 선제적이고 확실한 대응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경기회복기의 득실이 달려있다"며 "지금은 민간, 정부, 정치권은 물론 경영계와 노동계 등 한국경제의 모든 구성원들이 경제 위기상황을 잘 극복하는데 힘을 모아야할 때"라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98.01 ▲9.94
코스닥 817.34 ▼3.33
코스피200 433.13 ▲2.03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89,000 ▼582,000
비트코인캐시 739,000 ▼9,000
이더리움 5,080,000 ▼37,000
이더리움클래식 33,090 ▼450
리플 4,683 ▼33
퀀텀 3,451 ▼2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81,000 ▼765,000
이더리움 5,062,000 ▼46,000
이더리움클래식 32,980 ▼580
메탈 1,148 ▼17
리스크 661 ▼11
리플 4,670 ▼40
에이다 1,153 ▼17
스팀 21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20,000 ▼530,000
비트코인캐시 739,500 ▼10,000
이더리움 5,080,000 ▼35,000
이더리움클래식 32,980 ▼520
리플 4,676 ▼37
퀀텀 3,451 ▼35
이오타 32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