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김기남 삼성전자 SAIT(구 종합기술원) 회장과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이 한목소리로 반도체 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15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림대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 심포지엄에서 ‘한국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미래’를 주제로 각각 기조연설을 했다.
김기남 삼성전자 SAIT(구 종합기술원) 회장은 "(반도체) 첨단 기술 경쟁력을 만들어내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인력"이라며 "아무리 지금 인공지능(AI)과 챗GPT가 잘한다고 해도 반도체 공정 데이터를 학습하지 않으면 전혀 쓸모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수한 인력을 통해 만들어진 최첨단 기술로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한다"며 "우수한 인력이 있으면 기술 혁신은 지속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가 훌륭한 정책을 만들고 연구개발(R&D)을 통해 학교에서 좋은 인력을 양성하도록 뒷받침할 수 있어야 한다"며 "그 인력이 회사에 들어와 돈을 벌고 회사는 재투자를 하는 식의 사이클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력 양성에 관해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희도 반도체 계약학과도 만들고 무지 노력했는데 잘 안된다"며 "기업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고 국가, 학계, 산업계가 공동으로 노력해 선순환 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정부 반도체 정책에 대해 "투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반도체 지원이나 육성이 필요하다"며 "적어도 경쟁국에 뒤지지 않는 정도의 지속적인 정책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
이날 심포지엄에 함께 참석한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도 반도체 인력 유출에 대한 고민을 토로하며 인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한국이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지키려면 ▲ 우수 인재 육성 ▲ 정부의 반도체 생태계 강화 노력 ▲ 미래 기술 준비가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박 부회장은 “현재 예상으로는 2031년 학·석·박사 기준으로 5만 4000명 수준의 인력이 부족할 것”이라며 “전국 지역 거점 대학에 반도체 특성화 성격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챗GPT를 비롯한 AI 산업과 관련해서는 “앞으로 AI 챗봇 서비스 분야가 반도체 수요의 새로운 ‘킬러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이라며 “AI 시대에 일어날 기술 혁신의 중심에 항상 메모리 반도체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박 부회장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인력을 빨아들이는 인텔 마저 우수 인력을 구글, 엔비디아 등에 빼앗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마이크론은 2013년 일본 엘피다를 인수하면서 일본 인재 덕분에 D램을 빠르게 키웠다"며 "인적 경쟁력이 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대기업과 소부장, 학계가 함께 반도체 생태계를 활성화할 플랫폼으로 '미니 팹(공장)'을 구축하는 안도 제안했다.
미니 팹은 반도체 생태계 기업과 학계의 연구 결과나 시제품 분석, 양산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도록 반도체 공정을 간소화한 형태로 팹 장비 환경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그는 이어 “챗GPT 등 AI 시대가 펼쳐지고 관련 기술이 진화하면서 글로벌 데이터 생성, 저장, 처리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라며 “이러한 흐름 속에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최고속 D램인 HBM(고대역폭 메모리)은 AI 시대 기술 진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