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역대 최악의 적자로 경영난을 호소했던 한국전력공사와 한국가스공사 직원 수천명이 억대 연봉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적자 사태 해소를 위해 난방비를 올릴 수 밖에 없다고 강조해왔는데, 정작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구 노력에는 소홀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한전과 가스공사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수익성 및 복리후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두 기업에서 억대 연봉을 받은 직원 수는 총 5,004명에 달했다.
한전과 가스공사의 전체 직원 수는 지난해 기준 2만7689명이다. 평균 5.5명 당 1명꼴(약 18.1%)로 억대 연봉을 받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한전의 억대 연봉자는 총 3589명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다. 한전 역대 연봉자는 전체 직원 2만 3563명 중 15.2%였다. 2021년(3288명)보다 301명 늘어난 숫자다.
가스공사는 전체 직원(4126명)의 34.3%에 달하는 1415명이 억대 연봉을 받았다. 직원 3명 중 1명 꼴이다. 가스공사에서는 지난해 473명이 새롭게 억대 연봉자가 됐다.
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은 한전이 8452만5000원였고, 가스공사는 9357만4000원이었다. 가스공사는 전년보다 직원 1인당 평균연봉이 600만원가량 올랐다.
정부는 지난해 30조8000억원으로 추산되는 한전의 영업적자를 메꾸기 위해 올해 전기 요금을 29.5% 인상했다. 가스요금도 지난해 36.2% 올렸다. 정부는 누적 적자가 9조원에 달하는 한국가스공사 경영난 해소를 위해 올 2분기부터 요금을 더 인상할 계획이다. 올 들어 한파가 몰아치면서 2월 관리비는 전달보다 훨씬 높게 나올 거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이주환 의원은 “난방비 폭탄과 전기요금 인상 등 갈수록 국민 살림은 팍팍해지는데 공공기관은 그들만의 잔치를 벌이면서 대규모 적자 책임을 국민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공공기관이 허리띠를 더욱 졸라 매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