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2월 취업자 31만명 증가... 청년취업자 2년 만에 최대 감소

메뉴

경제

2월 취업자 31만명 증가... 청년취업자 2년 만에 최대 감소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3-15 11:18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지난 2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1만2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2년 만에 최소 규모인데, 특히 60살 미만 취업자 수는 10만명 넘게 감소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71만4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1만2천명 늘었다. 이는 2021년 2월(-47만3천명) 이후 2년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41만3천명 늘었고,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10만1천명이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50대(7만7천명)와 30대(2만4천명)는 소폭 늘었으나, 20대 이하 청년층(-12만5천명)과 40대(-7만7천명)는 감소했다.

특히 청년층 취업자 감소 폭은 2021년 2월(-14만2천명) 이후 최대다. 청년층 취업자는 4개월째, 40대 취업자는 8개월째 줄었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 등 경기 둔화의 영향이 고용시장에서도 가시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 거리두기 해제로 배달 종사자가 최근 줄어드는 추세인데, 학업을 병행하는 20대 초반을 중심으로 이 분야 취업자수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할 의사가 있는 경제활동인구 대비 취업하지 못한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실업률은 3.1%로 1년새 0.3%포인트 줄었다. 현재의 방식으로 실업률을 집계하기 시작한 1999년 6월 통계 개편 이후 2월 기준 최저다. 하지만 청년층은 실업률이 7%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늘었고, 30대 실업률도 6.7%로 1년새 0.8%포인트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2만7천명 감소했다. 전월(-3만5천명)에 이어 두 달째 감소세다. 반도체 중심의 수출 감소가 제조업 취업자 감소에도 영향을 미치는 양상이다.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금융·보험업에서도 6천명 감소했다. 지난 1월 금융·보험업 취업자 수는 1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다시 감소한 것이다. 도소매업(-7만6천명), 운수·창고업(-4만4천명), 농림어업(-4만4천명) 등에서도 감소했다.

반면 보건·복지업(19만2천명), 숙박·음식점업(17만6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월 고용은 취업자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이 9개월째 둔화했다"며 "고용률 전체로 봤을 때 나쁜 상황은 아니지만, 경기 영향이 조금씩 영향권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67,000 ▼187,000
비트코인캐시 687,000 ▼1,500
이더리움 3,964,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250 ▼290
리플 3,653 ▼102
퀀텀 3,006 ▼2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38,000 ▼76,000
이더리움 3,96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250 ▼310
메탈 1,051 ▼14
리스크 604 ▼11
리플 3,653 ▼104
에이다 943 ▼18
스팀 190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9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685,500 ▼3,000
이더리움 3,967,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250 ▼260
리플 3,649 ▼104
퀀텀 2,997 ▼40
이오타 25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