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서울서 중위소득 구매가능 아파트는 100채중 3채... "멀어지는 내집 마련"

메뉴

경제

서울서 중위소득 구매가능 아파트는 100채중 3채... "멀어지는 내집 마련"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4-03 10:23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서울에서 중위소득 가구가 구매할 수 있는 아파트는 100채 중 3채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지역의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할 경우에는 소득의 절반가량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3일 한국주택금융공사(HF)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47.0으로 집계돼 전년(44.6) 대비 2.4포인트(p) 올랐지만 50을 하회했다.

주택구입물량지수는 주택구입능력을 측정하는 지수로,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 가능한 주택 수의 비율을 0∼100 기준으로 보여준다.

수치가 높을수록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 가능한 주택물량이 많다는 의미다. 반대로 수치가 낮을수록 구입 가능한 주택물량이 적다. 수치가 100이면 중위소득 가구가 100%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해당 지수는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와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시세, 통계청의 도시근로자 가계소득과 고용노동부의 5인 이상 사업체 상용근로자 월급여 총액 등을 이용해 산출한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서울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3.0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중위소득 가구가 보유한 순자산과 소득을 기준으로 대출을 끼고라도 살 수 있는 아파트가 100채 중 3채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서울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2012년에 32.5로 30을 넘었다. 그러나 2016년 20.2에서 2017년 16.5로 내려간 뒤 ▲2018년 12.8 ▲2019년 13.6 ▲2020년 6.2 ▲2021년 2.7로 떨어졌다.

경기도의 지난해 주택구입물량지수가 33.5로 서울 다음으로 낮았다. 인천(39.7) 부산(44.6) 제주(47.4) 등도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 가능한 주택이 2채 중 1채에도 못 미쳤다.

이어 세종(50.4), 대전(52.2), 대구(56.6), 광주(63.1), 울산(64.9) 등은 지수가 50∼60대를, 충북(75.5), 경남(75.9), 전북(77.1), 강원(78.2), 충남(78.8), 전남(84.2), 경북(85.7) 등은 70∼80대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53,000 ▼78,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2,500
이더리움 3,98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420 ▼20
리플 3,690 ▼11
퀀텀 3,020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50,000 ▲49,000
이더리움 3,984,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450 ▼30
메탈 1,058 ▼2
리스크 602 ▼8
리플 3,692 ▼8
에이다 953 0
스팀 191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80,000 0
비트코인캐시 688,500 ▲2,000
이더리움 3,982,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430 ▲30
리플 3,690 ▼7
퀀텀 2,997 ▼40
이오타 249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