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유연수 기자] MZ세대들은 취업할 때 ‘월급과 성과보상체계가 잘 갖추어진 기업’보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보장되는 기업’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가장 선호하는 리더는 ‘소통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20·30대 8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기업 인식 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MZ세대들은 취업하고 싶은 기업으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보장되는 기업'(36.6%·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월급과 성과보상체계가 잘 갖추어진 기업(29.6%), ▲정년보장 등 안정적으로 오래 일할 수 있는 기업(16.3%), ▲기업과 개인의 발전가능성이 높은 기업(10.4%)도 선호했다. 월급과 정년 보장보다 개인의 삶을 중시하는 인식 변화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77.9%는 가장 선호하는 경영진의 리더십 유형으로 직원과 함께 고민하고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결정하는 ’소통형’을 선택했다. 강한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신속한 결정을 내리는 ‘카리스마형’은 13.9%, 직원에게 권한을 위임하고, 업무 처리 시 자율성을 부여하는 ‘위임형’은 8.2%가 원했다.
MZ세대들은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제고를 위해 ‘기업 내 조직원 간 소통 강화’(37.2%)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적극적 투자 및 일자리 창출(29.7%), 좋은 제품과 서비스 생산(24.7%), ESG 적극 실천(5.7%), 기업 역할에 대한 홍보(2.7%) 순으로 조사됐다.
최근 젊은 경영자들이 MZ세대와 적극 소통에 나서는 것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70.2%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부정적’ 평가는 7.9%에 불과했다. 국내 주요 기업 경영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MZ세대와의 소통을 확대하고 있는데, △삼성전자 실시간 유튜브 소통채널 ‘위톡’ △현대자동차 마음상담 토크콘서트 △SK 회장 직원간 문답이벤트 ‘회장과의 찐솔대화’ △LG 임직원 소통채널 ‘엔톡’ 등이 대표 사례다.
MZ세대의 기업 호감도는 기업 크기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대기업 호감 64.4%, 비호감 7.1% △중견기업 호감 51.2%, 비호감 7.8% △공기업 호감 46.6%, 비호감 17.4% △스타트업 호감 38.0%, 비호감 15.5% 등 대체로 호감도가 높았으나 중소기업은 호감 21.1%, 비호감 36.1%로 비호감을 선택한 응답자가 더 많았다.
기업의 기부 활동은 MZ세대간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의 기부 활동을 ‘잘 모른다’고 답한 MZ세대가 40.5%로 가장 많았고 ‘약간 알고 있다’는 39.1%, ‘매우 잘 알고 있다’ 10.6%, ‘전혀 모른다’ 9.8% 순으로 집계됐다.
이상윤 전경련 CSR본부장은 “MZ세대들이 우리 기업과 기업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며 "기업들이 사회공헌이나 ESG 경영활동을 많이 하고 있음에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