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한국 가계 빚, 여전히 GDP 대비 '세계 1위'... 기업부채 증가속도 4위

메뉴

경제

한국 가계 빚, 여전히 GDP 대비 '세계 1위'... 기업부채 증가속도 4위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5-30 07:55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2년 가까이 통화 긴축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가계 빚(부채)은 여전히 국가 경제 규모를 고려할 때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 부채 역시 강력한 긴축 기조 속에서도 오히려 증가했으며 증가 속도는 세계 4위 수준이었다.

2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기준 세계 34개국(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우리나라(102.2%)였다. 이어 홍콩(95.1%)이 2위였으며 태국(85.7%), 영국(81.6%), 미국(73.0%), 말레이시아(66.1%) 등의 순이었다.

특히 한국은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가계 부채가 경제 규모(GDP)를 웃돌았다.

1년 전인 작년 1분기와 비교하면, 한국의 가계 부채 비율은 105.5%에서 102.2%로 3.3%포인트 낮아졌다. 하락 폭은 폴란드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태국, 영국에 이어 여섯번째로 컸다.

2021년 하반기 시작된 글로벌 기준금리 인상 릴레이 여파로 한국의 가계 부채도 덩치가 줄어든 것이지만, GDP를 상회하는 독보적인 가계빚 규모를 의미있게 줄이는데는 역부족이었던 셈이다.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전례 없이 불어난 가계부채를 이전 수준으로 되돌리기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통상 기준금리 인상은 1년 이상의 시차를 두고 물가, 경기, 가계부채 흐름 등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행은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약 1년 6개월간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3.5%로 3%포인트(p) 끌어올렸다.

이후 올해 2, 4월에 이어 지난 25일까지 기준금리를 세 차례 연속 동결하면서도, 이창용 한은 총재가 "절대로 다시 못 올릴 것이라고 생각하지 말라"고 경고하는 등 시장에 '긴축 기조 유지' 의지를 전달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시중은행의 대출 동향 등으로 미뤄, 가계와 기업의 빚이 앞으로 뚜렷하게 더 줄어들기는 어려운 분위기다.

국내외 통화 긴축 종료 기대로 시장금리가 떨어지면서 대출금리도 다소 낮아진 데다, 부동산·주식 등의 자산 거래가 회복되면서 가계의 신규 대출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소상공인을 포함한 기업들도 경기 불황 등에 계속 대출을 끌어 쓰고 있다.

기업의 부채 규모는 긴축 기조에도 오히려 늘고 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GDP 대비 한국 비금융기업의 부채 비율은 1년 사이 3.1%포인트 상승했는데, 긴축기조가 이어진 지난 1년간 기업 부채 비율이 높아진 나라는 한국을 비롯해 10개국에 불과했다. 이에따라 1분기 GDP 대비 한국의 기업부채 규모는 118.4%로 홍콩(269.0%), 중국(163.7%), 싱가포르(126.0%)에 이어 네 번째로 높았다.

전년 동기(115.3%) 대비 3.1% 포인트 증가했는데, 이 같은 증가 속도는 베트남(8.5% 포인트), 중국(7.8% 포인트), 칠레(5.6% 포인트)에 이어 네 번째로 빨랐다. 정부 부채는 GDP 대비 44.1%로 34개국 중 22위였다.

반면 정부 부문 부채 비율은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IFF는 1분기 한국의 GDP 대비 국가 부채 비율이 1년 전 47.3%에서 44.1%로 3.2%포인트 낮아졌다고 밝혔다. 이는 조사 대상국 34위 가운데는 22번째로 높은 비율이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39.1%)이었다. 부채 증가 속도는 싱가포르(17.4%p)와 가나(8.7%p)가 1, 2위를 차지했다.

지속적인 부채 축소 흐름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금융안정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실물경제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은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가계부채 규모가 GDP의 80%를 넘어서면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권도근 한은 통화신용연구팀 차장은 "우리나라와 같이 가계신용 비율이 이미 100%를 초과한 상황에서는 가계부채가 거시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파급 효과가 더 클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신용 비율이 80%에 근접하도록 가계부채를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93,000 ▼332,000
비트코인캐시 685,500 ▼5,500
이더리움 3,978,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420 ▼200
리플 3,673 ▼39
퀀텀 3,033 ▼2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299,000 ▼447,000
이더리움 3,973,000 ▼26,000
이더리움클래식 24,370 ▼280
메탈 1,056 ▼11
리스크 599 ▼7
리플 3,670 ▼44
에이다 951 ▼10
스팀 191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20,000 ▼400,000
비트코인캐시 683,500 ▼6,500
이더리움 3,975,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4,380 ▼210
리플 3,669 ▼41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