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차주들이 온라인에서 '원스톱'으로 대출을 갈아탈 수 있도록 한 '대환대출 인프라'가 오는 31일 출범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오는 31일 대환대출 인프라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기로 했다.
'대환대출 인프라'는 영업점 방문 없이 차주가 유리한 대출 상품으로 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하나의 플랫폼에서 클릭 몇 번만으로 금리가 더 저렴한 대출 상품을 '쇼핑'할 수 있다.
기존에는 차주가 기대출을 상환하고 타 대출로 옮기기 위해선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유선 연락을 통해 확인 서류를 전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환대출 인프라가 가동되면 터치 몇 번만으로 은행 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대출을 갈아탈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중도상환 수수료가 있는 상품을 이용하고 있다면 이에 따른 금액도 한눈에 볼 수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이자 경감 수준과 내야 할 수수료 등을 비교한 뒤에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고를 수 있는 셈이다.
다만 모든 소비자가 대환대출 플랫폼을 통해 더 낮은 금리의 상품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이미 최저 수준의 금리를 적용 받고 있는 고객의 경우 자신에게 맞는 대환대출 상품을 찾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대환대출의 경우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에만 한정된다.
이는 금융사 간 금리 경쟁을 통해 고금리 시대 서민들의 대출 이자 부담을 줄이겠다는 금융당국 구상에서 시작했다. 이번 대환대출 인프라에는 은행 19곳, 저축은행 18곳, 카드 7곳, 캐피탈사 9곳 등 금융사 53곳과 토스·카카오페이·네이버파이낸셜 등 23개 대출비교 플랫폼 업체가 참여한다.
서비스가 개시되는 만큼 업계에서는 고객 쟁탈전이 한창이다. 이번 인프라 구축에 더 진심인 곳은 빅테크 업체들이다. 카카오페이·네이버파이낸셜·토스 등은 금융사를 유치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은행들도 타행 대출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금리 경쟁에 돌입했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은 기존 비대면 신용대출보다 조건이 유리한 대환대출 시스템 전용 상품을 출시할 전망이다. 우리은행은 기존 타행 대출을 자사 대출로 갈아타는 고객에게 6월말까지 중도상환해약금과 인지세 등 대출 거래비용을 최대 10만원까지 지원한다.
금융소비자들 반응도 긍정적이다. 핀테크 기업 핀다에 따르면 대출 갈아타기 사전 신청자가 하루 평균 4000명이 넘고 있다. 서비스 출시 전부터 대출을 갈아타려는 대기 수요가 많다는 의미다.
당국은 우선 6개월 이상의 개인 신용대출을 대상으로 시작한 뒤 올해 12월부터 주택담보대출로 대환 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연말까지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주택담보대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라며 "소비자 편의를 최대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