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소득 3.4% 늘때 먹거리 물가 폭등... 라면·빵·과자 물가 상승률 최고

메뉴

경제

소득 3.4% 늘때 먹거리 물가 폭등... 라면·빵·과자 물가 상승률 최고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6-26 10:02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올해 1분기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전체 가구 소득 증가율과 비교하면 3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은 소득 증가 폭이 더욱 작아 장바구니·외식 물가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다.

26일 연합뉴스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399만1천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4%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은 전체 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사회보험 등을 뺀 것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이다.

올해 1분기 먹거리 물가 상승 폭은 처분가능소득 증가율보다 훨씬 컸다.

대표 먹거리 물가 품목인 가공식품과 외식의 물가 상승률은 9.9%와 7.5%로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의 2.9배, 2.2배였다.

가공식품의 경우 세부 품목 73개 가운데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는 품목이 87.7%인 64개에 달했다. 이 중 치즈(32.8%), 드레싱(29.1%), 식용유(28.8%) 등 8개 품목은 물가 상승률이 20%가 넘었다.

또 일반 서민이 자주 찾고 경제생활에도 영향을 주는 빵(14.3%)과 스낵과자(13.1%), 라면(12.4%), 아이스크림(11.8%), 파이(11.0%) 등은 10%가 넘었다.

라면의 경우 올해 1분기 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14.7%) 이후 15년 만에 최고였고, 아이스크림도 2009년 2분기(14.5%) 이후 가장 높았다.

빵은 지난해 4분기 15.3%로 2008년 4분기(17.8%) 이후 정점을 찍었다가 올해 1분기 소폭 하락했고, 스낵과자는 지난해 4분기 14.1%로 2008년 4분기(18.2%) 이후 최고였다가 올해 1분기 소폭 내려왔지만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장바구니 물가도 부담이지만 외식을 즐기기는 더 팍팍한 상황이다.

올해 1분기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단 2개를 제외한 37개(94.9%)의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웃돌았다.

음식점 등에서 마시는 소주(외식)의 물가 상승률이 10.7%에 달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의 3.1배였고, 맥주(외식)도 10.2%로 3배였다. 피자(10.5%)와 라면(외식)(10.4%), 김밥(10.4%), 떡볶이(10.0%), 돈가스(10.0%) 등 평소 서민들이 자주 즐기는 외식 품목도 10%가 넘었다.

저소득층의 경우 먹거리 부담은 더 컸다.

소득 하위 20%(1분위)의 1분기 처분가능소득은 85만8천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3% 증가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률은 1분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의 7.6배, 5.8배였다.

반면 소득 상위 20%(5분위)는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4.7%로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률이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의 각각 2.1배, 1.6배에 그쳤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00,000 ▲123,000
비트코인캐시 689,000 ▼2,000
이더리움 3,991,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540 0
리플 3,705 ▼8
퀀텀 3,042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71,000 ▼35,000
이더리움 3,990,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510 ▼40
메탈 1,061 ▼3
리스크 606 ▼0
리플 3,707 ▼8
에이다 957 ▲1
스팀 19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1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2,500
이더리움 3,990,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480 ▼110
리플 3,706 ▼6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