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현재 약 300만명의 가계대출자는 원금과 이자를 갚느라 최소한의 생계를 이어가기도 힘겨운 상태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런 대출 상환 부담은 연체율 상승으로 나타나 금융 불안을 키울 뿐 아니라, 수출이 부진한 상태에서 민간 소비 회복까지 막아 결국 실물 경기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 2일 연합뉴스와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현재 국내 가계대출자 수는 모두 1977만명이고,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1845조3000억원에 이른다.
이들 가운데 약 300만명의 가계대출자는 원금과 이자를 갚느라 최소한의 생계를 이어가기 어려운 상태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이중 175만명은 아예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아 소비 여력이 완전히 ‘제로(0)’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대출자 수와 대출 잔액이 각각 4만명, 15조5000억원 줄었지만, 감소율은 0.2%, 0.8%로 미미했다. 1인당 평균 대출잔액도 3개월 사이 9392만원에서 9334만원으로 0.6%(58만원)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전체 가계대출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40.3%로 집계됐다. 대출자들이 평균 연 소득의 40% 정도를 금융기관에서 진 빚을 갚는 데 써야 한다는 의미다. DSR는 지난해 4분기 40%대로 올라선 뒤 내려오지 않고 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는 지표다.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다.
DSR이 100% 이상인 경우도 전체의 8.9%를 차지했다. 175만명(1977만명 중 8.9%)에 이르는 가계대출자의 연 원리금 상환액이 소득과 같거나 소득보다 많았다. 2020년 3분기(7.6%) 이후 2년 6개월 동안 계속 오르고 있다.
DSR이 70% 이상, 100% 미만인 대출자(6.3%·124만명)까지 더하면 DSR 70% 이상 대출자 수는 299만명(15.2%)까지 불어났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은 DSR이 70% 정도면 최저 생계비만 빼고 거의 모든 소득을 원리금 상환에 쏟아부어야 하는 상황으로 평가한다. 현재 약 300만명 대출자가 원리금 부담 탓에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추정된다. 차주 수가 아닌 대출잔액 기준으로는 DSR 70% 이상인 가계대출의 비중이 1분기 말 기준 41.4%에 달한다.
최근 한은이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올해 3월 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금융기관에서 각 0.30%, 1.71%에 이르렀다. 은행권 연체율은 2019년 11월(0.30%) 이후 3년 6개월 만에, 비은행권 연체율은 2020년 11월(1.72%) 이후 2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작년 하반기 이후 가계대출 연체율이 금융권 전반에서 오르고 있다"며 "2020년 이후 취급된 대출의 연체율 상승 압력은 비은행금융기관에서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