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정부가 연체율이 10%를 웃도는 개별 새마을금고 30곳에 대해 합동 특별검사를 하고, 필요할 경우 지점 폐쇄나 통폐합을 추진하기로 했다.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현재 6%대이며 특히 기업대출 연체가 9.6%로 악화했다. 다만 행안부는 주요 부동산 대출의 리스크 관리가 충분해 일부 금고의 부실이 금융불안으로 번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 6월 29일 기준 새마을금고 대출금액은 총 196조8천억원(가계 85조2천억원·기업 111조6천억원)인데, 이중 연체액은 12조1천600억원(6.18%)으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 2월 말∼4월 말 수신 잔액도 대거 빠져나갔다. 4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 수신 잔액은 258조2천811억원으로, 지난 2월 말 265조2천700억원에서 6조9천889억원 줄었다.
중요한 것은 갚지 못하고 있는 대출의 성격이다. 새마을금고 대출 중 기업과 가계 비중은 6대 4 정도다. 지난달 29일 기준 총 대출액 약 197조원 중 가계 대출이 85조2천억원, 기업대출이 111조6천억원,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이 16조4천억원이다.
이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심각한 부문은 기업대출이다. 연체율이 9.63%에 달한다. 부동산·건설업이 일부 포함된 개인사업자 대출의 연체율은 5.11%다. 가계 대출 연체율은 1.65%, 가계신용대출은 1.82%, 주택담보 대출은 1.02%, 관리형 토지신탁은 1.12%로 양호하다.
행안부 관계자는 “관리형 토지신탁은 신탁회사에 토지를 신탁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부동산 기업 대출이 문제여서 관련 대책을 집중해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특별대책으로 연체 상위 금고 100개를 집중관리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중 연체율이 10%가 넘는 30개 금고에 대해서는 특별검사, 70개 금고에 대해서는 특별점검을 하기로 했다. 검사·점검 결과에 따라 합병 요구, 임원 직무 정지 등 조처를 내릴 수 있다.
검사·점검 기간은 7월 10일부터 8월 11일까지 5주간이며, 인력은 행안부, 금융감독원, 예금보호공사, 새마을금고중앙회 등 30명으로 구성된다. 개별 금고의 6월 말 기준 연체율, 연체 감축목표 및 이행현황의 주 단위 상황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이와 함께 행안부는 200억원 이상 공동대출 연체사업장 87곳(총 규모 3조2천억원)에 대해서는 사업장별·지역본부별 담당제를 운영하기로 했다. 대상은 관리형 토지신탁 사업장 13곳(1천800억원), 200억원 이상 공동대출 사업장 74곳(2조9천998억원)이다.
부실 채권은 지속적으로 매각한다. 올해까지 총 1조2천억원 규모를 정리한다.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손자회사인 MCI대부 매입 재원(7천억원)과 한국자산관리공사(5천억원)를 활용한다. 이 외에도 부실채권 펀드 등을 통해 매각할 수 있도록 금융위원회와 제도개선을 논의한다.
행안부는 향후 정상화가 가능한 대출 건에만 올해 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사업 정상화를 위한 신속한 판단을 위해 이사장이 우선 승인·결정하도록 하되 개별금고 대출심의위원회 및 중앙회 사전심의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