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부실로 흡수합병이 결정된 일부 새마을금고 지점에서 예·적금을 해지하려는 고객들이 몰리는 등 새마을금고의 건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정부가 관계기관 합동으로 위기 콘트롤타워인 '범정부 대응단'을 구성했다.
정부는 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새마을금고의 건전성 관련 합동 브리핑을 열고, 새마을금고 이용자들의 원금과 이자를 보장하고, 새마을금고의 대규모 매각 추진을 지원하겠다고 이같이 밝혔다.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은 브리핑에서 “정부는 새마을금고에 대해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은행 합동으로 ‘범정부 대응단’을 구성하고, 새마을금고의 예수금 동향을 밀착 모니터링 해 위험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 및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차관은 “최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상승해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크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면서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했다.
그는 "다른 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예금자별 5천만원 이하 예·적금은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예금자보호가 된다"며 "일부 금고가 인근 금고와 합병되더라도 고객의 모든 예금은 보장된다"고 말했다. 이어 "예·적금이 5천만원을 초과해도 합병한 금고에서 원금과 이자를 지급한다"고 덧붙였다.
또, 기존 예적금을 중도해지한 뒤 예금을 재예치할 경우 비과세 등 기존 계약 혜택을 유지하는 것도 검토 중인 사안이라고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상환준비금 등 총 77조3000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예금자보호준비금도 2조6000억원을 갖췄다. 또, 금고별 1000억원의 대출이 가능한 중앙회 대출과 금고간 거래를 통해 유동성 지원이 가능하고 필요시 국가·공공기관·타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을 통해 지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범정부 대응단은 새마을금고 유사시에 대비한 비상계획도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한 차관은 “유사시에 컨틴전시 플랜을 차질 없이 진행하는 한편, 필요 시 정부 차입 등을 통해 충분한 유동성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컨틴전시 플랜 1단계는 금고가 예치한 여유자금 지급, 2단계 상환준비금 지급, 3단계 중앙회 대출 지원”이라고 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새마을금고의 연체채권 정리를 위해 다양한 채널을 확보해 새마을금고가 대규모 매각을 적극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까지 총 1조2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매각할 방침으로,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손자회사인 MCI 대부 매입 재원(7000억원)과 한국자산관리공사(5000억원)를 통해서 매각을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