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금융 소비자가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앱을 통해 기존에 받은 신용대출을 더 유리한 조건으로 갈아탈 수 있는 '온라인 대환대출 인프라' 개시 이후 한 달간 6700억원 가량의 대출자산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5월 31일부터 6월 30일까지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6684억원(2만6883건)의 대출 자산이 이동했다.
대환대출 인프라 개시 초기 2금융권의 참여가 저조함에 따라 이동 유형은 은행 간 대출 이동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1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액수가 6161억원(2만252건)으로 전체의 92% 수준이었다.
반면,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이동한 액수는 315억원(2천352건)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2금융권에서 2금융권 169억원(2천98건), 1금융권에서 2금융권 39억원(381건)이었다.
같은 기간 전체 대환대출 이동 금액은 3844억원이었고, 1금융권에서 1금융권으로 옮긴 액수가 3636억원으로 95%에 달했다.
다만 카드사들이 최근 플랫폼 참여에 속속 나서면서 2금융권 고객의 대환대출도 보다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가 대환대출 서비스 플랫폼에 입점했고, 현대카드도 이달 6일 핀다와 손을 잡았다. 롯데카드와 우리카드도 3분기 중 플랫폼에 입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