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세계 13위로 잠정 집계돼 3년 연속 '톱(Top) 10'을 유지하는 데 실패했다.
달러대 원화가치가 다른 국가의 통화에 비해 더 큰폭으로 하락한 데 따른 것이다. 올해도 상황이 비슷해 톱10 복귀는 어려울 전망이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명목 GDP(시장환율 적용)는 1조 6천733억달러로, 전 세계 13위 수준으로 추정됐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25조4627억달러로 1위를, 중국이 17조8760억달러로 '빅2'를 형성한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이 4조2256억달러, 독일이 4조752억달러, 영국이 3조798억달러로 '톱 5'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인도(3조96억달러), 프랑스(2조7791억달러), 캐나다(2조1436억달러), 러시아(2조503억달러), 이탈리아(2조105억달러)가 전 세계 경제대국 10위 안에 들었다.
브라질이 1조8747억달러로 11위, 호주가 1조723억달러로 12위였고, 우리나라에 이어 스페인이 1조5207억달러, 멕시코가 1조4597억달러로 각각 14위와 15위를 차지했다.
명목 GDP란 한 나라에서 재화와 서비스가 얼마만큼 생산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시장가격(당해연도 가격)을 기준으로 집계한다.
지난해 한국의 경제규모를 100(한국=100)으로 봤을 때, 전 세계 1위 미국은 15배가 넘는 1천522, 중국은 10배가량인 1천68에 달했다. 일본(253), 독일(244)은 2.5배 정도, 영국(184), 인도(180), 프랑스(166) 등도 우리나라 경제규모의 1.5배 이상이었다.
한국의 경제규모 순위는 2021년 10위에서 지난해 13위로 3계단 하락했다.
유엔(UN) 통계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명목 GDP는 1조8천109억달러로 11위였던 러시아(1조7천787억달러)와 12위 호주(1조7천345억달러), 13위 브라질(1조6천89억달러)을 앞섰지만, 이들 모두 지난해 우리나라를 추월했습니다.
한국의 GDP 순위는 2005년 10위를 기록한 이후 줄곧 10위권 밖에 있다가 2018년 비로소 10위에 올랐다.
이듬해인 2019년 12위로 두 계단 하락했다가 2020년 재차 10위를 탈환했고 2021년에도 유지했지만 2022년 13위로 다시 밀렸다.
우리나라의 순위 하락은 지난해 경제 성장 활력이 떨어진 데다 강달러로 달러 전환 명목 GDP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명목 GDP는 2161조8000억원으로 1년 전 보다 3.9% 증가했지만 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7.9% 감소했다.
한국이 올해 10위권을 회복하는 것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실질 성장률이 올해 1% 중반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강달러 현상이 여전해 달러 환산 명목 GDP도 불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4월 세계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7%에서 1.5%로 하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