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2 (토)

더파워

부동산PF 연체율 2% 넘어... 금융권 대출 잔액 131조원 돌파

메뉴

경제

부동산PF 연체율 2% 넘어... 금융권 대출 잔액 131조원 돌파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07-20 11:27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대한 금융권의 대출 잔액이 131조원을 돌파하고 연체율도 2%를 넘어서는 등 곳곳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특히, 일부 증권사의 경우 부동산 PF 부실 규모가 임계치를 넘어선 것으로 보여 강력한 선제적 채무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 힘 윤창현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31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12월 말의 130조3000억원에서 3개월 만에 1조3000억원이 늘었다.

2020년 말까지만 해도 92조5000억원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급증세다.

문제는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익성 및 자금 회수에 문제가 생긴 부동산 PF 사업장이 늘면서 심각한 수준으로 연체율이 올라가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올해 3월 말 기준 2.01%로 지난해 12월 말의 1.19%보다 0.82%포인트 급증했다.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020년 말 0.55%, 2021년 말에는 0.37%에 불과했는데 올해 3월 말에는 2%를 넘겼다.

지난해 12월 말과 비교해 올해 3월 말 부동산 PF 대출 잔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은행으로 2조2000억원이었고 증권도 8000억원 증가했다. 보험과 저축은행은 각각 4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는 7000억원이 감소했다.

특히 3월 말 기준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증권사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15.88%로 2021년 말 3.71%에 비해 10%포인트 넘게 급등했다. 지난해 12월 말 10.38%와 비교해도 5.5%포인트 뛰었다.

올해 3월 말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각각 4.07, 4.20%로 지난해 12월 말에 비해 각각 2.02%p와 1.99%p 증가해 증권사와 더불어 저축은행과 카드사, 캐피탈사 등도 위험 지대임을 보여줬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신용등급 A등급 이하의 캐피탈사의 경우 1개월 연체율이 지난해 말 1% 수준에서 올해 3월 3%로 올랐다. 1년 미만의 단기 차입 비중 역시 2021년 6월 43%에서 55%로 늘어나는 등 재무상황 악화가 확연한 실정이다.

부실자산을 의미하는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급상승했다.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지난해 말 6638억원에서 올해 1분기 1조468억원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지난해 말 14.8%에서 1분기 19.8%로 증가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올해 3월 말 은행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0'이었고 보험사와 상호금융의 연체율도 각각 0.66%와 0.10%로 양호하다는 점이었다.

금융감독당국은 하반기 금융시장 안정 우선순위로 부동산 PF 부실 최소화로 설정,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지난 4월 말 재가동한 PF 대주단 협약을 통해 부실 사업장에 대한 '옥석 가리기'를 진행 중이다.

협약이 적용된 부실·부실 우려 사업장은 모두 91곳으로 이 가운데 66곳에 대해 만기 연장, 신규 자금 지원 등 정상화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윤창현 의원은 “새마을금고의 인출사태에서 보듯 시장은 정부의 대책을 기다려주지 않는다”면서 “일부 증권사의 부실 규모는 임계치를 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선제적 채무조정에 돌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도 이날 서울 여의도 금감원 회의실에서 국내 10개 증권사 CRO(최고위험관리책임자) 및 IB(투자은행) 담당 임원과 간담회를 갖고 부동산 PF대출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적극 이행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79,000 ▲97,000
비트코인캐시 704,500 ▼1,500
이더리움 4,032,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5,050 ▼10
리플 3,844 ▲30
퀀텀 3,087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01,000 ▲146,000
이더리움 4,026,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5,060 ▼20
메탈 1,071 0
리스크 606 ▲6
리플 3,837 ▲25
에이다 986 ▲1
스팀 19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81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704,500 ▼1,000
이더리움 4,03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5,030 ▼30
리플 3,844 ▲29
퀀텀 3,115 0
이오타 260 0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