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은행에 돈을 빌리고 원금은커녕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차주들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자재 가격 상승과 소비 위축 등의 영향으로 최종 부도 처리되거나 파산·청산 절차에 돌입한 기업들의 '깡통 대출'이 속출하고 있다.
20일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이 공시한 3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은행의 무수익여신 잔액은 올 3분기말 기준 2조8988억원으로 지난해말(2조2772억원)과 비교해 27.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4대 은행의 총여신은 1295조7838억원에서 1334조2666억원으로 3% 증가했다. 이에 따라 총여신에서 무수익여신이 차지하는 비율도 0.18%에서 0.22%로 늘었다.
무수익여신은 원리금은커녕 이자조차 받지 못하는 대출을 의미한다.
은행들은 3개월 이상 원금상환이 연체된 여신에 이자 미계상 여신을 추가 반영해 무수익여신 잔액을 산정하며, 고정이하여신보다 더 악성으로 취급한다.
무수익여신의 심각성은 가계보다 기업대출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4대 은행의 기업대출 부문 무수익여신은 지난해말 1조5310억원에서 올해 3분기말 1조9754억원으로 29% 증가했다. 같은 기간의 가계대출 부문 무수익여신이 7462억원에서 9234억원으로 23.7%로 증가한 것보다 더 가파른 증가세였다.
이는 고금리·고물가와 함께 경기둔화가 겹치며, 벼랑 끝에 몰린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는 탓이다.
법원통계월보 등에 따르면 전국 법원이 접수한 법인 파산 사건은 올해 3분기 기준 1213건에 달해 작년 동기(738건)보다 64.4% 급증했다. 개인 파산 접수가 올해 3분기 누적 3만1012건으로 지난해(3만1026건)와 거의 비슷한 것과 차이가 있다.
한편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누적 어음 부도액은 4조15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조 3202억원 보다 214.9% 급증했다. 1∼9월 월평균 어음 부도율도 지난해 0.08%에서 올해 0.25%로 껑충 뛰었다.
최근 국제금융협회(IIF)에 따르면 주요 34개국 GDP 대비 비금융기업 부채 비율을 보면 우리나라는 126.1%로 세 번째로 높았다. 한국을 웃도는 곳은 홍콩과 중국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