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0만3000원으로 작년 3분기 보다 3.4% 증가했다. 지난 2분기 0.8% 감소에서 플러스 전환한 것이다.
물가 영향을 제외한 실질소득도 작년 동기보다 0.2% 증가했다. 실질소득은 지난해 2분기 6.9% 증가한 후 3분기 -2.8%, 4분기 -1.1%, 올해 1분기 0.0%, 2분기 -3.9%로 감소 또는 보합하다 5분기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소득 유형별로 보면 취업자 증가와 임금 상승 등의 영향으로 근로소득이 3.5%, 재산소득이 16.5% 증가했다. 높은 물가 상황이 연금에 반영되면서 이전소득도 11.7% 늘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취업자 증가와 임금 상승 등의 영향으로 근로소득이 증가했다”며 “높은 물가 상황이 연금에 반영되면서 이전소득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사업소득(-0.8%)·비경상소득(-23.0%)은 감소했다. 사업소득 감소는 원자잿값 및 이자 비용의 증가와 기록적인 호우에 따른 농가소득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387만10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4.0% 증가했다. 생활에 필요한 재화·서비스 구입 비용인 소비지출은 280만8000원으로 3.9% 증가했다. 소비지출 주요 12개 품목 중 오락‧문화(16.7%)·식료품·비주류음료(6.0%)·주거·수도·광열(7.9%)·교육(7.0%) 등은 지출 증가한 반면, 가정용품·가사서비스(-6.2%), 의류·신발(-4.7%) 등에서는 지출이 감소했다.
추석 연휴 기간 해외여행이 많이 늘어나면서 단체여행비가 150.5%나 증가했고 운동·오락 서비스(2.9%) 등에서 지출이 증가했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도 6.0% 증가했다. 이상기온 영향으로 과일 등 신선식품의 물가가 오른 영향을 받았다. 공공요금이 상승하며 주거·수도·광열 지출 중에서는 전기, 도시가스 등 주거용 연료비(16.5%), 월세 등 실제주거비(10.2%) 순으로 지출이 늘었다.
소득수준별로 보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소득은 112만2000원으로 0.7% 감소하고, 소비지출은 123만7000원으로 0.7% 감소했다. 반면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84만3000원으로 4.1% 증가하고, 소비지출은 492만2000원으로 6.5% 증가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가처분가능소득은 397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1% 증가했다.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흑자액은 116만2000원으로 1.2%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