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사상 처음 1천조원 돌파를 앞두고 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전달 말보다 3조8천억원 증가한 998조원으로 사상 최대다.
아직 11월 말 수치가 발표되지 않았지만, 최근 증가세를 고려하면 1천조원 돌파가 확실시된다.
고금리에 연체율도 높아져 중소기업 파산 신청 건수도 1363건으로 역대 가장 많았다.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증했다. 올해 10월 말 수치를 코로나19 사태 전인 4년 전(2019년 10월 말)과 비교하면 283조원 증가했다. 증가 규모는 그 이전 4년간 155조원의 두 배에 가깝다.
상호금융과 새마을금고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9월 말 423조원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 금융권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이미 1400조원을 넘어선 상태다.
중소기업 대출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대출 금리도 고공행진 중이다. 예금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금리는 지난 10월 신규취급액 기준 평균 5.35%로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 때문에 중소기업의 대출 이자 부담도 만만치 않다. 올해 10월 중소기업의 신규 대출 중 금리가 5% 이상인 대출 비중이 62.1%를 차지한다. 2년 전인 2021년 10월만 해도 이 비중은 3.0%에 그쳤다. 2년 만에 금리 5% 이상인 대출의 비중이 20배 이상으로 껑충 뛴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피해에서 제대로 회복하지 못한 중소기업들이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고전하면서 대출 연체율이 높아져 올해 법인 파산 신청도 역대 가장 많았다.
금융감독원과 대법원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올해 9월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49%로 1년 전(0.27%)의 1.8배 수준으로 높아졌다.
그러나 대출 연체율은 앞으로 높아질 가능성이 작지 않다. 경기 부진과 고금리, 고물가 상황은 내년에도 이어지고 은행들은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문턱을 높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의 힘든 사정은 법인 파산 신청에서도 확인된다. 올해 1∼10월 전국 법원에서 접수한 법인 파산 신청 건수는 1천363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66.8% 급증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있는 2013년 이후 최대다. 코로나19 사태 첫해인 2020년의 기존 최대치(1천69건)도 훌쩍 넘겼다. 파산 신청을 하는 기업은 대부분 중소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