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신혼부부 10쌍 중 3쌍은 맞벌이·무자녀... 지난해 딩크족 비중 29%

메뉴

경제

신혼부부 10쌍 중 3쌍은 맞벌이·무자녀... 지난해 딩크족 비중 29%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3-12-18 09:11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지난해 맞벌이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인 초혼 신혼부부가 10쌍 중 3쌍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의 '2022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81만5357쌍 가운데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는 23만466쌍으로 28.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맞벌이·유자녀 부부(23만2459쌍·28.5%), 외벌이·유자녀 부부(18만5155쌍·22.7%), 외벌이·무자녀 부부(12만6531쌍·15.5%) 등 순이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딩크족은 2015년 18.0%를 기록한 후 2018년 21.7%, 2020년 25.8%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면서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이다. 반면 2015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외벌이·유자녀 부부는 2018년 30.0%, 2020년 26.2% 등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맞벌이·무자녀 비중은 2021년 27.7%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처음 역전했다. 이같은 현상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늘어나는 가운데 자녀를 낳지 않아도 괜찮다는 인식이 확산한 결과로 풀이된다. 맞벌이를 하면서 의도적으로 자녀를 갖지 않는 ‘딩크족’이 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30대에서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15년 27.7%에서 2020년 44.1%로 높아졌다.

자녀를 가져도 아이를 낳는 시기는 점점 늦춰지고 있다. 결혼생활 기간별로 보면 결혼생활이 5년 이상일 때 첫째아를 낳은 비중이 2012년 5.3%에서 지난해 11.5%로 2배로 뛰었다.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은 부부가 증가하면서 초혼 신혼부부는 소득이 높을수록 평균 자녀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득 구간별 평균 자녀 수를 보면 연 소득이 1000만원 미만일 때 자녀 수는 0.77명이었다. 1000∼3000만원 미만은 0.71명, 3000∼5000만원 미만은 0.72명, 5000∼7000만원 미만은 0.66명, 7000만∼1억원 미만은 0.55명, 1억원 이상은 0.57명이었다.

지난해 맞벌이 부부의 평균 소득은 8433만원으로 외벌이(4994만원)의 1.7배였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67,000 ▼79,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2,500
이더리움 3,981,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490 ▼150
리플 3,682 ▼30
퀀텀 3,040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44,000 ▼66,000
이더리움 3,983,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500 ▼100
메탈 1,061 ▼1
리스크 605 ▼1
리플 3,692 ▼21
에이다 954 ▼3
스팀 192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2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687,500 ▼2,500
이더리움 3,982,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480 ▼110
리플 3,686 ▼24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