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160만원∼200만원 미만인 경우는 2.5%(13만6336명), 200만원 이상인 경우는 0.3%(1만7178명)뿐이었다. 가장 많은 노령연금을 수급하는 경우는 수급액이 266만4660원에 달했지만, 전체 수급자의 평균 수급액은 61만9715원이었다.
국민연금은 명목 소득대체율(40년 연금 가입 기간 평균 소득 대비 받게 될 연금액의 비율)을 올해 기준 42%(지난해 42.5%)로 정했다. 하지만 평균 가입 기간이 지난해 기준 19.2년에 불과해 실질 소득대체율도 턱없이 낮다. 2020년 기준 실질 소득대체율은 22.4%에 불과하다.
한편,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 수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2225만411명으로, 2022년 말(2249만 7819명)보다 24만 7408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말 통계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생산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를 기점으로 가입자가 첫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고령 인구가 늘면서 수급자 수(지난해 9월 말 기준)는 671만6970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2년 연말(664만2643명), 2021년 연말(607만124명)과 비교하면 2년 새 60만명 가까이 늘었다.
김혜진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내는 사람은 줄고, 받는 사람은 느는 인구구조에서 국민연금 재정이 장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험료 부담 수준을 적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개혁 방안들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