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유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2.4%로 하향… 한국 2.4%로 반등

메뉴

경제

유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2.4%로 하향… 한국 2.4%로 반등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1-05 09:38

"세계 경제 침체 시나리오 피했지만 저성장 기조 장기화 우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유엔이 올해 세계 경제가 전년 대비 2.4%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봤다. 한국경제는 2023년 1%대 성장세에서 벗어나 세계 경제 성장률과 같은 2.4%의 성장률을 올해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유엔 경제사회국(DESA)은 4일(현지시간) 공개한 '2024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작년 5월 보고서 대비 0.1%포인트 낮춘 2.4%로 하향 조정했다.

유엔의 이 같은 전망은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해 10월 보고서에서 제시한 2024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2.9%) 대비 다소 비관적인 것이다.

선진국 중심으로 경기가 작년보다 둔화하면서 세계경제 성장률이 2023년 성장률(2.7%·추정치 기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권역별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미국이 1.4%로 직전 보고서 대비 0.4%포인트 상향 조정됐고, 일본(1.2%)과 중국(4.7%)도 직전 보고서 대비 각각 0.2%포인트 올랐다. 반면 유럽연합은 1.2%로 종전 대비 0.3%포인트 하향 조정됐고, 영국도 0.4%로 종전 대비 0.7%포인트 낮아졌다. 신흥국 성장률 전망치도 종전 대비 0.2%포인트 낮춘 4.0%로 제시했다.

한국경제는 2023년 1.4%(추정치) 성장한 데 이어 2024년 2.4%로 성장세가 반등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은행이 작년 11월 내놓은 2024년 전망치(2.1%) 대비 낙관적인 수치다.

보고서는 한국경제에 대해 "민간소비의 둔화는 고물가 지속으로 실질임금이 하락한 것을 반영한다"면서도 "긴축적 통화정책과 금융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2023년 민간투자가 완만하게 회복되면서 2024년 성장률 전망치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라고 밝혔다.

미국 경제와 관련해서는 가계저축 감소와 고금리, 노동시장 과열 완화로 올해 중 소비가 약화하고 투자가 부진한 상태가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미국 경제가 경착륙할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했지만 노동시장과 주택시장, 금융시장 여건 악화로 경제가 현저한 하강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오는 2025년에는 세계 경제 성장률이 2.7%로 다소 높아지겠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의 세계 경제 성장률 추세치(3.0%)엔 미치지 못할 것으로 관측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세계 경제가 경기침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했지만,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할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70,000 ▲267,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1,000
이더리움 4,020,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740 ▼20
리플 3,764 ▼13
퀀텀 3,099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48,000 ▲341,000
이더리움 4,020,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730 ▼40
메탈 1,047 ▼7
리스크 593 ▼4
리플 3,769 ▼7
에이다 978 ▼1
스팀 19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60,000 ▲310,000
비트코인캐시 689,500 ▼500
이더리움 4,023,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750 ▼40
리플 3,764 ▼14
퀀텀 3,083 ▼14
이오타 26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