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해 저출산·고령화 등 영향으로 내국인은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외국인이 큰 폭으로 늘면서 국내 총인구가 3년 만에 증가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를 보면 지난해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8만2000명(0.2%) 늘어났다.
인구주택총조사는 주민등록통계와 달리 외국인 등 한국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을 포괄한다. 총인구는 2021년부터 2년 연속 감소했지만 지난해 3년 만에 증가 전환했다.
총인구 증가세는 외국인이 견인했다.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인구로 집계되는 외국인은 국내 3개월 이상 체류했거나 3개월 이상 체류 목적으로 입국한 외국인이다.
지난해 상주 외국인은 193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18만3000명(10.4%) 늘었다.
국적별로 보면 전년 대비 베트남(18.1% 증가)·태국(16.8%)·중국(8.5%) 국적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규모로는 중국(한국계)이 53만2000명(27.5%)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24만7000명·12.8%), 중국(22만1000명·11.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입국자 증가, 고용허가제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반면 내국인 수는 2021년 이후 3년째 내리막길이다. 2022년 4994만명을 기록하며 4년 만에 4000만명대로 내려앉은 데 이어 지난해에는 4983만9000명으로 10만명 더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유소년 인구(0∼14세)는 562만명으로 24만1000명(4.1%) 줄어들면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61만명을 기록하며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고령인구는 지난해보다 46만명(5.1%) 늘면서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고령인구는 증가하면서 노년 부양에 따른 부담은 커졌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 인구는 15.4명으로 전년보다 0.6명 줄었고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인구인 노년 부양비는 26.3명으로 1.4명 늘었다.
유소년 인구(0∼14세)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을 뜻하는 노령화지수는 171.0으로 1년 사이 14.9 상승했다. 이는 10년 전인 2013년 83.3(추정치)에 비해 약 2배 급증한 것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인구·가구·주택의 절반가량이 수도권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총인구는 2622만6000명으로 전체의 50.7%를 차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1381만5000명(26.7%)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938만5000명·18.1%), 부산(328만명·6.3%)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총가구는 2272만8000가구로 전년보다 34만5000가구(1.5%) 증가했다. 수도권에 전체 가구의 49.7%가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주택 수는 1955만호로 전년 대비 39만1000호(2%) 증가했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인 가구 비중이 35.5%로 가장 높았고 2인 가구(28.8%), 3인 가구(19.0%), 4인 가구(13.3%) 등 순이었다.
결혼이 줄고, 고령화로 혼자 사는 가구가 늘어나는 등 여러 요인으로 1인 가구는 계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1인 가구의 연령대별 비율은 20대 이하가 18.6%로 가장 높다. 60대와 30대가 17.3%씩으로 나타나 뒤를 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자의 경우 30대가 21.8%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대 이하(18.7%), 50대(17.6%)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여자는 60대(18.6%)에서 비중이 가장 컸다. 20대 이하(18.4%)가 비슷한 비중이었고 70대(15.2%)가 뒤를 이었다.
다문화 가구는 41만6000가구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1만6000가구(4.1%) 늘어난 수준이다. 2018년과 비교하면 5년사이 8만1000가구(24.1%) 증가했다.
다문화 가구 중 귀화자 가구가 43.1%로 가장 많다. 결혼이민자 가구(37.0%), 다문화자녀 가구(11.3%) 순으로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