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외투기업, 노조법 개정안 시행시 파업 20.0% 증가... 투자 15.4% 감소

메뉴

경제

외투기업, 노조법 개정안 시행시 파업 20.0% 증가... 투자 15.4% 감소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8-12 13:11

개정안, 파업 만능주의 조장·국가경쟁력 약화 우려... 전면 재검토 필요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한국에 투자한 외국기업의 과반(55.0%)은 지난 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노조법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기업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하는 반면,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0곳 중 1곳(10.0%)에 불과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하여 종업원 100인 이상 제조업종 주한외투기업 인사노무담당자(응답 1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노조법 개정안 인식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외투기업, 노조법 개정안 시행시 파업 20.0% 증가... 투자 15.4% 감소
개정안은 사용자의 개념을 근로계약 체결의 당사자를 넘어 근로자의 근로조건에 대하여 ‘실질적·구체적으로 지배·결정할 수 있는 자’로 확대하고 있다. 외투기업 10곳 중 6곳(59.0%)은 사용자의 개념 확대가 한국 산업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17.0%)의 3.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사용자의 개념 확대가 산업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도급계약 부담 증가로 노동시장 효율성 저하(27.3%)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이어서 ▸하청노조의 원청에 대한 파업 증가(25.3%), ▸원·하청노조 간 갈등 야기(22.1%) 순으로 응답했다.

외투기업, 노조법 개정안 시행시 파업 20.0% 증가... 투자 15.4% 감소
개정안은 특수고용형태종사자, 자영업자 등 노조법상 근로자가 아닌 자의 노동조합 가입을 허용하고 있다. 외투기업 10곳 중 6곳(62.0%)은 노조 가입범위의 확대가 한국 노사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한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20.0%에 그쳤다.

노조 가입범위의 확대가 노사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빈번한 교섭 및 파업으로 사업 운영에 차질 발생(28.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외에도 ▸노무제공자 등의 무리한 교섭요구 및 파업으로 노사질서 교란(22.6%), ▸경영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기업 투자․고용 위축(18.6%) 등을 지목했다.

개정안은 노동쟁의 범위를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분쟁에서 ‘근로조건’에 관한 분쟁으로 확대하고 있다. 외투기업 10곳 중 7곳(68.0%)은 노동쟁의 범위의 확대가 국내 산업현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업 비중(11.0%)의 약 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외투기업들은 노동쟁의 범위의 확대가 산업현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조직개편 등 사용자 고유의 경영권 침해(30.1%), ▸노사 문제를 파업으로 해결하려는 심리 확산(27.6%), ▸경영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투자·고용 위축(18.7%) 등을 지적했다.

외투기업, 노조법 개정안 시행시 파업 20.0% 증가... 투자 15.4% 감소
노조법 개정안이 시행될 경우 외투기업들은 한국 내 파업이 20.0% 증가하고 외국인투자는 15.4%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협은 노조법 개정안은 파업 확대로 노동시장의 경직성과 대립적인 노사관계를 심화시킬 우려가 커, 외투기업들이 투자 계획을 보수적으로 재정비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외투기업들은 노조법 개정안의 입법상 가장 큰 문제점으로 ▸여야 간 충분한 논의 부족(26.0%)을 꼽아 국회 내 충분한 논의와 대안 마련 없이 진행된 일방적인 입법 처리과정을 지적했다. 이어서 ▸노조 측에 편향된 제도 입법 추진(24.0%), ▸노사 양 당사자 간 충분한 숙의과정 결여(23.0%) 등을 지목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노조법 개정안은 사용자‧노동쟁의의 범위 확대 등으로 대화를 통한 노사 간 협력보다 파업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투쟁 만능주의를 조장할 우려가 크다”며,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저해하고 외국인 투자를 크게 위축시킬 우려가 있는 노조법 개정안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52,000 ▼94,000
비트코인캐시 687,000 ▼3,500
이더리움 3,98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460 ▼180
리플 3,683 ▼31
퀀텀 3,040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45,000 ▼65,000
이더리움 3,982,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450 ▼150
메탈 1,060 ▼2
리스크 605 ▼1
리플 3,687 ▼30
에이다 952 ▼7
스팀 191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8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686,500 ▼3,500
이더리움 3,980,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460 ▼130
리플 3,680 ▼32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