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뉴스=유연수 기자) 세계 최대 글로벌 의결권 자문기관들이 잇달아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에 대해 주주와 투자자의 지지를 권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 예정된 SK이노베이션과 SK E&S간 합병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ISS와 글래스루이스는 최근 발간한 의결권 자문 리포트를 통해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합병에 대해 찬성했다. 양 기관은 전세계 90% 이상의 기관투자자들에게 기업 의결권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1, 2위 글로벌 의결권 자문기관이다.
두 기관은 이번 합병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만들어 재무구조를 강화하는 한편 현재와 미래 에너지를 아우르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서 합병의 목적과 그에 따른 기대 효과가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일부 소액주주들이 지적하는 합병비율의 적절성과 관련, 법적으로 규정된 방법을 따랐을 뿐 아니라 기업가치 평가도 공정했다고 밝혔다.
ISS는 국내 동종업계가 시장에서 평가받는 수준을 고려했을 때 SK E&S의 기업가치가 충분히 납득 가능하다는 점, SK E&S와의 합병으로 주당순이익 측면에서 바로 수혜를 볼 수 있다는 점 등을 이유로 기업가치 평가는 공정했다고 평가했다.
글래스루이스는 "지난 2022년 이후 SK이노베이션 시장가가 자산가치에 비해 상당히 낮은 가격에 거래돼 왔다"며 "시장가를 사용하는 것이 SK이노베이션의 기업가치를 제대로 반영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 "만약 SK이노베이션 장부가로 합병비율을 산정했다면 거래 상대방의 문제 제기로 합병이 이뤄지지 않았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글래스루이스는 또 "양사 간의 합병이 글로벌 경영환경의 불확실성과 급속하게 진행되는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도 SK이노베이션 계열의 수익성을 향상하고 재무적 안정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합병 발표 이후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SK이노베이션의 신용등급 및 전망을 안정적(BB+ Stable)에서 'BB+ 긍정적 관찰대상(Credit Watch Positive)'으로 변경했다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이밖에 일각에서 우려했던 SK E&S의 상환전환우선주(RCPS) 문제도 충분히 소명됐다고 평가했다.
최근 RCPS의 계약조건이 변경된 것이 당장 상환할 의도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과 향후 상환 방법도 이사회 결정에 따라 합리적으로 이뤄질 것을 소명했다는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