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내년 예산안 677조 '고강도 긴축'...5년간 필수·지역의료에 20조+α 투자

메뉴

경제

내년 예산안 677조 '고강도 긴축'...5년간 필수·지역의료에 20조+α 투자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8-27 12:13

병장 월급 200만원 넘는다...생계급여 연간 141만원 인상

내년예산안을설명하는최상목부총리겸기획재정부장관(왼쪽김동일예산실장)
내년예산안을설명하는최상목부총리겸기획재정부장관(왼쪽김동일예산실장)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내년 정부예산이 총지출 677조원 규모로 편성됐다. 올해 본예산보다 3.2% 늘어난 수치다. 정부가 예상하는 내년도 경상성장률(4.5%)에 못 미치는 '긴축 재정'으로 평가된다.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올해 지출증가율(2.8%)보다 다소 상향 조정됐지만, 증가 보폭을 2년 연속으로 3% 안팎에 묶어둔 셈이다.

정부는 27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2025년 예산안'을 의결하며 이같이 밝혔다.

예산안이 9월 초 국회에 제출되면 각 상임위원회 및 예산결산특위의 감액·증액 심사를 거쳐 오는 12월 확정된다.

총수입은 39조6000억원(6.5%) 증가한 651조8000억원으로 짜였다. 국세를 15조1000억원(4.1%) 더 걷고, 기금 등 세외수입을 24조5000억원(10.0%) 늘려 잡은 결과다.

총지출은 20조8000억원(3.2%) 늘어난 677조4000억원으로 편성됐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2022년 예산(604조4000억원)과 비교하면 12.1% 늘어난 규모로, 총지출 개념이 도입된 2005년 이후로 역대 정부 가운데 임기 첫 3년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하게 됐다.

내년도 지출증가분의 대부분은 법적으로 지급 의무가 있는 의무지출로 채워진다.

의무지출은 347조4000억원에서 365조6000억원으로 18조2000억원(5.2%), 재량지출은 309조2000억원에서 311조8000억원으로 2조6000억원(0.8%) 각각 증가했다.

재량지출이 지난 2017년(-0.1%)처럼 마이너스를 기록하지는 않았지만, 1%에도 못 미치는 0%대 증가율로 사실상 제자리걸음 한 것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비효율적이고 중복된 부분을 덜어내고 그 빈자리에 사회적 약자 등에 필요한 부분을 충분히 넣었다"며 "지출증가율 숫자보다는 내용적으로 경제활력에 기여하는 예산이라고 자부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 악화한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정상화하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재정이 빠듯한 상황에서 신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이번에도 20조원을 웃도는 고강도 지출 구조조정이 이뤄졌다.

지난 2년간의 구조조정으로 '순수한' 재량지출에서는 여력이 많지 않은 현실을 고려해 이번에는 각종 경직성 경비까지 '테이블'에 올렸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국가채무는 1196조원에서 1277조원으로 81조원 늘어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올해 3.6%에서 내년 2.9%로 낮아진다.

기재부는 "내년부터 재정 준칙(3% 상한)을 준수하면서 점진적으로 개선되도록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52,000 ▼94,000
비트코인캐시 687,000 ▼3,500
이더리움 3,980,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460 ▼180
리플 3,683 ▼31
퀀텀 3,040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45,000 ▼65,000
이더리움 3,982,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450 ▼150
메탈 1,060 ▼2
리스크 605 ▼1
리플 3,687 ▼30
에이다 952 ▼7
스팀 191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8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686,500 ▼3,500
이더리움 3,980,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460 ▼130
리플 3,680 ▼32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