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기업심리 3개월째 위축…"주요국 경기둔화 우려 영향"

메뉴

경제

기업심리 3개월째 위축…"주요국 경기둔화 우려 영향"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9-27 09:28

9월 기업심리지수 1.9p↓…제조업 1.9p↓·비제조업 0.8p↓

연합뉴스
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미국과 중국의 경기둔화 우려가 고조되면서 국내 기업 체감 경기를 나타내는 지표가 석 달 연속으로 악화했다.

주요국 경기둔화 우려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체감경기가 모두 나빠졌다는 것이 한은 진단이다.

27일 연합뉴스와 한국은행이 이날 발표한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9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1.3포인트(p) 하락한 91.2로 집계됐다.

전산업 CBSI는 지난 6월 95.7에서 7월 95.1로 다섯 달 만에 하락 전환한 뒤 8월 92.5에 이어 석 달째 내림세를 기록했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중국 경기 둔화로 1차 금속, 화학 제품, 자동차 등의 수요가 감소했다"며 "미국 경기침체 우려와 대선 관련 불확실성도 영향이 있었다"고 말했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주요 지수(제조업 5개·비제조업 4개)를 바탕으로 산출한 심리 지표로, 장기(2003년 1월∼2023년 12월) 평균(100)을 웃돌면 경제 전반에 대한 기업 심리가 낙관적,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산업별로 제조업 CBSI는 90.9로, 전월보다 1.9p 하락했다. 업황(-0.4p), 생산(-0.6p), 제품 재고(-0.6p), 자금 사정(-0.4p) 등이 부진했고, 신규 수주(+0.2p)만 개선됐다.

제조업 중 중소기업 CBSI는 89.7, 내수기업 CBSI는 88.9로 90선을 밑돌며, 각각 2020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한 점이 눈에 띄었다.

비제조업 CBSI는 0.8p 내린 91.4로 집계됐다. 매출(-0.3p), 자금 사정(-1.0p) 등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나, 채산성(+0.5p)은 올랐고 업황은 보합이었다.

세부 업종 BSI 변화를 보면, 제조업 중 1차 금속이 건설, 자동차 등 전방 산업의 수요 부진으로 생산 지수가 10p 하락했다.

정제마진 하락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석유정제·코크스의 업황 지수가 15p 빠졌고,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로 인한 수출 감소로 화학물질·제품의 신규 수주 지수가 9p, 업황 지수가 3p 각각 내렸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운수창고업(채산성 -8p·업황 -5p), 정보통신업(자금 사정 -3p·채산성 -3p) 등의 BSI가 악화했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반영한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0.5p 낮은 93.7을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93.6으로 0.1p 올랐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99,000 ▲19,000
비트코인캐시 689,000 ▼1,500
이더리움 3,984,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520 ▼100
리플 3,694 ▼22
퀀텀 3,042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49,000 ▲99,000
이더리움 3,985,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510 ▼50
메탈 1,062 0
리스크 604 ▼1
리플 3,694 ▼19
에이다 955 ▼5
스팀 192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40,000 ▲60,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2,000
이더리움 3,985,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480 ▼110
리플 3,696 ▼16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