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공업 생산 4.1% 증가…자동차 22.7%·반도체 6.0%↑
연합뉴스(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달 산업생산이 자동차 및 반도체 생산 증가에 힘입어 4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소매 판매는 18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全) 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7(2020년=100)로 전월보다 1.2% 증가했다.
4월 1.4% 증가했던 전산업생산은 5월(-0.8%)과 6월(-0.1%), 7월(-0.6%) 연이어 감소한 후 4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를 기록했다.
부문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이 4.1% 늘면서 전체 산업 생산 증가를 견인했다.
품목별로 보면 통신·방송장비(-7.1%)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자동차(22.7%), 반도체(6.0%)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보다 0.2% 늘면서 3개월 연속 증가 흐름이 이어졌다.
특히 내수와 밀접한 항목인 숙박·음식점(4.4%)과 도소매업(3.0%)에서 뚜렷한 증가세가 나타났다.
소비 흐름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한 달 전보다 1.7% 늘었다. 소매 판매는 4월(-0.6%)·5월(-0.2%) 감소에서 6월(0.9%) 증가로 돌아섰다가 7월(-2.0%) 다시 감소하면서 들쭉날쭉한 흐름을 보여왔다.
신발·가방 등 준내구재(-0.9%)의 판매가 줄었지만,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7%), 승용차 등 내구재(1.2%)는 판매가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에서 투자가 모두 줄어 전월보다 5.4% 줄었다.
건설기성은 건축 분야에서 공사실적이 줄면서 전월 대비 1.2% 감소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2로 전월보다 0.1포인트(p) 하락했다. 올해 3월 이후 6개월 연속 '마이너스' 흐름이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6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2018년 7월∼12월 처음이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또한 100.6으로 0.1p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