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8월 경상수지 66억 달러 흑자… 반도체·휴대전화 등 수출호조

메뉴

경제

8월 경상수지 66억 달러 흑자… 반도체·휴대전화 등 수출호조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10-08 13:43

4개월 연속 흑자지만 7월보다 24억달러↓…상품 흑자 65.9억달러

연합뉴스
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 8월 한국의 경상수지가 66억 달러(약 8조8800억원) 흑자를 기록, 4개월 연속 플러스(+) 기조를 이어갔다. 스마트폰과 반도체 수출이 호조를 보인 덕분이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8월 경상수지는 66억달러(약 8조89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 4월 외국인 배당 증가 등으로 4월 경상수지가 적자를 기록한 이후 4개월 연속 흑자 행진이다.

다만 흑자 규모는 6년 9개월 내 최대였던 6월의 절반 수준이고, 7월보다도 약 24억달러 줄었다.

올해 1~8월 누적 경상수지 흑자는 536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106억7000만 달러)보다 429억3000만 달러 늘었다.

한은은 IT품목을 중심으로 한 수출 증가세에 따라 경상수지 확대 흐름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며 지난 8월 제시한 하반기 전망치(353억달러)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가 전년 동기 대비 65억9000만 달러 플러스로 흑자를 기록하는 데 도움을 줬다. 17개월 연속 흑자로, 전월(83억3000만달러)보다는 흑자 폭이 축소됐다.

품목 중에서는 정보통신기기(44.0%)·반도체(38.3%)·석유제품(0.6%)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늘었지만 화학 공업 제품(마이너스(-) 4.4%)과 승용차(-3.6%), 철강(-0.2%) 등 비 IT 부문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유럽연합(EU·16.1%)과 동남아시아(15.3%), 미국(11.1%), 중국(7.9%), 일본(6.6%)이 전년 동기 대비 호조를 보였다.

수입은 508억6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9% 늘었다. 원유(30.1%)·석유제품(13.4%)·천연가스(5.6%) 등 원자재 수입이 6.1%, 수송장비(46.0%)·반도체(18.7%)·반도체 제조장비(14.7%) 등 자본재 수입이 7.8% 각각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12억3000만달러 적자다. 전월(-23억8000만달러) 대비 적자 폭은 축소됐다.

특히 여행수지 적자(14억2000만 달러)가 컷다. 해외여행 성수기를 맞아 전월(-12억6000만 달러) 대비 적자 폭이 커졌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본원소득수지는 16억9000만달러로 전월 대비 흑자 폭이 줄었다. 외국인 증권투자에 대한 분기 배당 지급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자소득수지는 7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직접 투자는 한국인의 국외 투자가 44억6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12억1000만 달러 각각 증가했다. 금융계정 순자산은 49억3000만달러 증가했다.

증권 투자에서는 한국인의 국외 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86억4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채권을 위주로 26억2000만 달러 각각 증가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91,000 ▲76,000
비트코인캐시 689,500 ▼1,500
이더리움 3,990,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540 0
리플 3,705 ▼7
퀀텀 3,042 ▼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71,000 ▼29,000
이더리움 3,993,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510 ▼40
메탈 1,061 ▼3
리스크 606 ▲1
리플 3,705 ▼10
에이다 957 0
스팀 19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00,000 ▲10,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2,500
이더리움 3,98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480 ▼110
리플 3,705 ▼7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