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와 내년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각각 2.5%, 2.2%로 전망하면서 이전 수준을 유지했다.
2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10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발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내년 경제성장률은 2.2%로 전망했다.
IMF는 매년 4차례에 걸쳐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4월과 10월은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전망이며 1월과 7월은 한국을 포함한 주요 30개국 대상 수정 전망치다.
한국의 올해 2.5% 경제성장률 전망은 지난 7월 전망과 같다. 당시 정부는 2.6%, 한국은행은 2.4%, 한국개발연구원은 2.5%로 전망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역시 2.5%로 내다봤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2.2%) 역시 지난 7월 전망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날 IMF는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기존과 동일한 3.2%로 전망했다. 내년의 경우 지난 7월엔 3.3% 성장을 전망했지만, 이번 전망에선 3.2%로 1%p 내려잡았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국가별로 보면, 미국 성장률은 실질임금 상승에 따른 소비 개선 등으로 0.2%P 상향 조정된 2.8%로 예측됐다.
영국(1.1%)과 프랑스(1.1%), 스페인(2.9%) 등 대부분 유럽 국가도 통화정책 완화 영향으로 성장률이 상향 전망됐다.
반면, 제조업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독일은 지난 7월 0.2%에서 이번 달 0%로 하향 조정됐다.
일본도 7월의 0.7%에서 이번 달 0.3%로 전망치가 떨어졌다. 부동산 시장 침체와 소비 심리가 악화한 중국 성장률은 4.8%로 0.2%P 하향 조정됐다.
IMF는 "지난 7월 전망에 비해 세계 경제 하방조정 위험요인이 보다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그간 긴축적 통화정책의 시차 효과에 따른 성장·고용에의 부정적 영향, 중국 부동산 부문 위축 지속, 전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강화 및 지정학적 위기 심화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하방요인으로 지적했다.
상방 조정 가능 요인으로는 주요 선진국의 투자 회복 등을 제시했다.
IMF는 “중앙은행이 물가·성장·고용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고, 유연하게 통화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