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국민 절반은 '결혼 안해도 된다'…저출생 대책 주거 지원 필요

메뉴

경제

국민 절반은 '결혼 안해도 된다'…저출생 대책 주거 지원 필요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11-12 13:15

결혼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 '결혼 자금 부족'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우리나라 국민 절반 가까이는 결혼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는 '결혼 자금 부족'이 꼽혔다.

10명 중 7명은 결혼하지 않고 동거가 가능하다고 답했다. 결혼 없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37%를 넘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4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결혼해야 한다고 답한 비중은 52.5%로 2년 전 조사보다 2.5%포인트(p) 상승했다.

'결혼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가 41.5%, '하지 말아야 한다'가 3.3%였다. 국민의 절반 가까이인 44.8%가 결혼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성별로 보면 결혼해야 한다고 답한 남성는 58.3%로 여성(46.8%)보다 11.5%p 더 많았다.

미혼남녀의 경우 남성 41.6%, 여성 26.0%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해 차이가 더 컸다.

연령대별로 '결혼해야 한다'는 응답 비중이 10대(13∼19세)는 33.7%, 20대는 39.7%, 30대는 43.9% 등 연령이 올라갈수록 높아졌다. 60세 이상은 72.3%가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결혼하지 않은 이유로는 '결혼자금이 부족해서'가 31.3%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출산과 양육이 부담돼서'(15.4%), '고용상태가 불안정해서'(12.9%) 순이었다.

미혼 여성에서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9.1%)라는 답변 비중도 높았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년 전보다 2.2%포인트(p) 상승한 67.4%였다.

결혼 없이 동거가 가능하다는 답변은 2018년 56.4%, 2020년 59.7%, 2022년 65.2%로 상승 추세다.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37.2%로 2년 전보다 2.5%p 늘었다. 이 역시 2012년(22.4%)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68.4%로 2년 전보다 3.1%p 상승했다.

우리나라 결혼식 문화가 과도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76.9%였다. 2년 전보다는 3.8%p 감소했다.

전반적인 가족 관계에 대해서는 63.5%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2년 전보다 1.0%p 감소했다.

관계 유형별로 보면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78.1%로 가장 높고 다음은 배우자와의 관계(75.6%), 부모와의 관계(70.5%),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59.8%) 순이었다.

부부간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68.9%로 2년 전보다 4.2%p 상승했다.

그러나 실제로 공평하게 가사를 분담한다고 답한 비율은 남성가 24.4%, 아내가 23.3%에 그쳤다.

'부모의 노후를 가족이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2년 전보다 1.5%p 감소한 18.2%였다. 10년 전 31.7%와 비교하면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가족·정부·사회가 함께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10년 전(47.3%)보다 13.0%p 상승한 60.3%였다. 다음은 가족(18.2%), 부모님 스스로 해결(16.4%) 순이었다.

가장 효과적인 저출생 대책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주거 지원'이라는 답이 33.4%로 가장 높았다. '청년 일자리 창출·취업지원'(20.8%), '일·가정 양립 직장문화 조성'(14.0%)이라는 답도 높게 나타났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학교생활에 만족하는 중·고등학생은 57.3%로 2년 전보다 6.2%p 증가했다.

부문별 만족도는 교우 관계가 71.6%로 가장 높고, 교사와의 관계(65.3%), 학교 시설(56.3%) 순이었다.

학습 동기는 좋은 직업(직장)을 갖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74.9%로 가장 많았다.

기대하는 교육의 수준은 학생의 84.5%, 부모의 93.4%가 대학교(4년제) 이상의 교육을 원했다.

본인의 전공과 직업이 일치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37.3%로 2년 전보다 0.5%p 증가했다.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전공과 직업이 일치한다는 비중이 높아져 대학원 졸업의 경우 73.4%로 나타났다.

자녀 교육비가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주의 비중은 60.9%로 2년 전보다 3.2%p 상승했다.

교육비의 부담 요인은 학원비, 과외비, 인터넷 수강료 등 학교 납입금 외의 교육비를 꼽는 사람이 71.9%로 가장 많았다.

여건이 허락되면 유학 보내기를 원하는 학부모의 비중은 56.9%였다.

대체로 가구의 월평균 소득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유학 희망 비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부모는 10명 중 6명 정도가 자녀의 유학을 원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5월 15일부터 30일까지 전국 약 1만9천개 표본 가구에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3만6천여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53,000 ▼93,000
비트코인캐시 687,500 ▼3,000
이더리움 3,962,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4,260 ▼360
리플 3,640 ▼127
퀀텀 3,007 ▼3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377,000 ▼82,000
이더리움 3,961,000 ▼21,000
이더리움클래식 24,260 ▼350
메탈 1,051 ▼23
리스크 597 ▼25
리플 3,645 ▼117
에이다 943 ▼23
스팀 191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00,000 ▼10,000
비트코인캐시 685,500 ▼5,000
이더리움 3,959,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220 ▼380
리플 3,638 ▼125
퀀텀 2,997 ▼40
이오타 25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