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10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넉 달 만에 10만 명대 아래로 떨어졌다. 10만 명을 밑돈 것은 6월 이후 넉달 만이다.
내수와 밀접한 도소매업과 건설업을 중심으로 고용시장 위축이 계속 돼 취업자 수 감소세가 이어진 결과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84만7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8만3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6월 9만6000명 늘어난 이후 7월(17만2000명)·8월(12만3000명), 9월(14만4000명) 모두 10만명대를 넘겼지만 지난달 다시 10만명을 하회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도소매업과 건설업이 취업자 증가세 둔화를 이끌었다. 도소매업은 1년 전보다 14만8000명이 줄었고, 건설업은 9만3000명이 감소했다.
도소매업 취업자 감소는 2021년 7월(-18만6000명) 이후 3년 3개월 만에 최대 폭이다. 도소매업은 8개월, 건설업은 6개월 연속 각각 감소하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3만3000명 줄어, 4개월째 감소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도소매업과 건설업 취업자 수가 많이 감소하면서 전체 취업자 수 증가폭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9만7000명), 교육서비스업(8만4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7만7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에서 25만7000명 증가하며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8만2000명 줄고, 40대도 7만2000명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9만1000명, 임시근로자는 10만5000명 각각 증가했다. 반면 일용근로자는 10만명 줄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작년 동월 대비 0.1%포인트(p) 상승한 69.8%로 집계됐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10월 기준 가장 높았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3%를 기록하며 1년 전과 동일했다.
지난달 실업자는 67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1000명 늘었다. 실업률은 0.2%p 높아진 2.3%로 나타났다.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이 동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상황도 이어졌다.
10월 쉬었음 인구는 244만5000명으로 역대 10월 중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에서 10만명, 청년층(15∼29세)에서 5만2000명, 30대에서 4만7000명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34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000명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