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8.29 (금)

더파워

“배추·시금치 등 채솟값 하락에... 10월 생산자물가 0.1%↓"

메뉴

경제

“배추·시금치 등 채솟값 하락에... 10월 생산자물가 0.1%↓"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11-20 08:58

유가 상승에 석탄·석유제품 2.0%↑...음식료품 가격은 0.4%↑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달 공산품 등이 올랐으나 농산물이 10% 넘게 내리면서 전체 생산자물가가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국제유가와 환율 상승 탓에 수입물가가 상승하면서 국내공급물가는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9월(119.16)보다 0.1% 하락한 119.02(2020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석 달 연속 하락세다.

지난해 10월보다는 1.0% 올라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15개월째 상승세를 유지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산물(-10.5%)과 축산물(-9.1%) 등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이 8.7% 하락했다.

반면 공산품은 국제유가 상승 등 영향에 석탄및석유제품(2.0%), 음식료품(0.4%) 등을 중심으로 0.2%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도 산업용전력(2.7%), 증기(2.3%) 등이 오르면서 0.8% 높아졌다.

서비스업 역시 음식점및숙박서비스(0.5%), 부동산서비스(0.2%) 등이 상승해 0.2%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배추(-46.1%), 시금치(-62.1%) 등 채소와 돼지고기(-16.7%), 닭고기(-7.8%) 등 축산물, 플래시메모리(-13.9%)가 많이 내렸다.

반면 우럭(30.0%), 혼합소스(9.1%), 김치(5.4%), 나프타(6.5%), 동1차정련품(5.1%), 호텔(5.5%), 전세버스(8.0%) 등은 상승했다.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두바이유 가격은 9월 평균 배럴당 73.52달러에서 10월에는 74.94달러로 1.9%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은 9월 평균 1334.82원에서 10월 1361.0원으로 2% 올랐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9월보다 0.1% 상승했다. 원재료(-2.0%)가 하락했으나 중간재(0.4%)와 최종재(0.1%)가 상승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0월 총산출물가지수 역시 0.2% 높아졌다. 농림수산품이 8.4% 내렸으나, 공산품이 0.6% 올랐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탄·석유제품 생산자물가가 올랐다”며 “그동안 농림수산품 가격이 높았던 것이 음식료품 제조 원가 상승으로 작용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6.01 ▼10.31
코스닥 796.91 ▼1.52
코스피200 430.12 ▼1.6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148,000 ▲1,215,000
비트코인캐시 756,000 ▲7,500
이더리움 6,206,000 ▲136,000
이더리움클래식 29,670 ▲410
리플 4,056 ▲37
퀀텀 3,757 ▲7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306,000 ▲1,530,000
이더리움 6,213,000 ▲146,000
이더리움클래식 29,820 ▲590
메탈 1,017 ▲14
리스크 538 ▲8
리플 4,036 ▲16
에이다 1,179 ▲28
스팀 183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5,030,000 ▲1,230,000
비트코인캐시 755,000 ▲6,500
이더리움 6,190,000 ▲120,000
이더리움클래식 29,650 ▲410
리플 4,055 ▲38
퀀텀 3,763 ▲71
이오타 27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