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제조업 체감경기 1년 1개월만에 가장 부진... 수출 둔화 우려

메뉴

경제

제조업 체감경기 1년 1개월만에 가장 부진... 수출 둔화 우려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11-27 09:21

제조업 CBSI 2.0p 하락한 90.6…비제조업은 0.4p 상승

@연합뉴스
@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미국 대선 이후 불확실성과 수출 둔화 우려 등으로 이달 제조업 체감 경기가 1년 1개월 만에 가장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제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2.0포인트(p) 하락한 90.6으로 집계됐다. 제품재고(-1.1p), 자금사정(-0.8p) 등이 주요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제조업 CBSI는 지난해 10월(90.5) 이후 1년 1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하락 폭도 지난 8월(2.9p) 이후 가장 컸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CBSI가 장기(2003년 1월~2023년 12월) 평균치인 100보다 크면 낙관적,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반도체는 종류별로 업종 내 차별화가 계속되고 있고 휴대전화 부품 생산업체의 수출 감소 우려도 커졌다”며 “자동차 역시 부품업체 파업과 생산 감소, 경쟁 심화 등 영향으로 심리가 악화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선 이후 불확실성과 수출 둔화 우려 등은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자동차, 친환경에너지, 반도체 등 업종에서 (트럼프의) 통상 정책이 현실화하면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예상한 기업이 있었다”고 했다.

비제조업 CBSI는 92.1로 전월보다 0.4p 상승했고 다음달 전망 CBSI도 90.3으로 전월에 비해 1.1p 올랐다. 채산성(+1.0p) 및 매출(+0.3p)이 상승에 영향을 줬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종합한 전산업 CBSI는 0.6p 하락한 91.5를 기록했다. 전산업 CBSI는 지난 10월 넉 달 만에 반등했지만, 이내 하락세로 돌아섰다. 12월 전산업 CBSI 전망치 역시 전월보다 0.1p 하락한 89.7로 조사됐다.

제조업 중 전자·영상·통신장비는 휴대전화 부품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감소하면서 자금사정BSI가 11p 하락했다.

자동차는 일부 부품업체 파업으로 자금사정BSI가 9p, 생산BSI가 10p 내렸으며, 화학물질·제품(자금사정 -6p, 업황 -6p)도 대내외 수요 감소, 중국업체와의 경쟁 심화 여파에 심리가 나빠졌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운수창고업(채산성 -7p, 업황 -4p)이 부진했으나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자금사정 +8p, 매출+5p)과 전기, 가스, 증기(채산성 +12p) 등은 개선됐다.

BSI에 소비자동향지수(CSI)를 반영한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보다 0.2p 상승한 92.7을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93.8로 전월보다 0.1p 높아졌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91,000 ▲72,000
비트코인캐시 689,500 ▲500
이더리움 3,991,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560 ▲50
리플 3,708 ▲10
퀀텀 3,04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44,000 ▲94,000
이더리움 3,995,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590 ▲80
메탈 1,062 ▲1
리스크 605 ▼1
리플 3,705 ▲6
에이다 958 ▲3
스팀 19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6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688,500 ▲500
이더리움 3,990,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580 ▲100
리플 3,704 ▲3
퀀텀 3,053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