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가톨릭중앙의료원-아주대 의대 공동 연구팀, 위암 진행 핵심 세포 상호작용 첫 발굴

메뉴

정치사회

가톨릭중앙의료원-아주대 의대 공동 연구팀, 위암 진행 핵심 세포 상호작용 첫 발굴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4-12-02 11:21

가톨릭중앙의료원기초의학사업추진단김태민교수,서울성모병원병리과이성학교수,아주대학교외과학교실허훈교수,이다경박사후연구원
가톨릭중앙의료원기초의학사업추진단김태민교수,서울성모병원병리과이성학교수,아주대학교외과학교실허훈교수,이다경박사후연구원
(더파워뉴스=이경호 기자)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인공지능뇌과학사업단장 김태민 교수(교신저자, 의료정보학교실), 이성학 교수(제1저자, 서울성모병원 병리과)와 아주대학교 외과학교실 허훈 교수(교신저자), 이다경 박사후연구원(제1저자) 공동 연구팀이 최신 공간 전사체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위암 진행과 관련된 세포 간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암 진단 및 치료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공간전사체 기술은 세포의 유전자 발현 정보를 조직 내 공간적 위치와 함께 분석하는 첨단 생명공학 기법이다. 이 기술은 암과 같은 복잡한 질환에서 세포 간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연구팀은 암 조직의 미세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 종류의 세포를 찾아냈다. 바로 CCL2 단백질을 만드는 섬유아세포와 STAT3 단백질이 활성화된 대식세포이다. 이 세포들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위암의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했고 특히, 이들의 상호작용이 위암 환자의 치료 결과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밝혔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런 세포 간의 복잡한 소통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연구팀은 최신 공간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기술을 도입해, 세포의 위치와 활동을 동시에 살피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9개의 위암 조직을 위암 조직 내 세포군의 비율에 따라 면역원성 위암, 상피성 위안, 기질성 위암의 세 가지 범주로 분류했고, 각각의 세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세포별 전사체 변화와 기능적 변화를 추론했다.

특히, 기질세포와 면역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공간적 해상도에서 전사체 동역학 분석으로 규명한 결과, CCL2 발현 섬유아세포와 STAT3 활성화 대식세포가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사실을 위암 실험실 모델 및 생쥐 모델을 통해서도 증명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김태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신 기술을 활용해 암 치료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중요한 성과”라며 “핵심 세포아형의 구분과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표적 마커 발굴을 통해 위암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92,000 ▲241,000
비트코인캐시 694,000 ▲3,500
이더리움 4,00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630 ▲280
리플 3,705 ▲20
퀀텀 3,055 ▲3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60,000 ▲128,000
이더리움 4,000,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250
메탈 1,071 ▲14
리스크 606 ▲8
리플 3,706 ▲20
에이다 962 ▲15
스팀 193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50,000 ▲170,000
비트코인캐시 693,000 ▲500
이더리움 3,99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630 ▲320
리플 3,703 ▲19
퀀텀 3,053 0
이오타 24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