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2 (토)

더파워

고분양가·경쟁률에 작년 청약통장 55만개 사라졌다...71% 강남 3구에 쏠려

메뉴

경제

고분양가·경쟁률에 작년 청약통장 55만개 사라졌다...71% 강남 3구에 쏠려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1-17 09:01

작년 서울 1순위 청약자 중 71% 강남3구 청약…양극화 심화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해 서울 1순위 청약자 중 71%가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 아파트 청약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이어서 당첨 시 수억 원의 시세 차익이 기대되면서다.

서울에서 나오는 소수의 분양 단지에 청약자가 몰려 경쟁률이 100 대 1을 넘어선데다, 높은 분양가로 청약 문턱이 높아지면서 작년 한 해 동안 청약통장 가입자는 55만명이 줄었다.

1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단지의 1순위 청약자 수는 60만4천481명이었다.

이 중 강남 3구 분양 단지 청약자 수는 42만8천416명으로 71%를 차지했다.

지난해 강남권 분양 단지가 많았고, 청약에 신청했다 떨어진 뒤 다른 단지에 다시 도전하면 청약자 수가 중복으로 계산되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강남 쏠림 현상이 두드러진다.

지난해 서울 분양 단지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102 대 1, 강남 3구는 289 대 1이었다.

전년인 2023년에는 서울 1순위 청약자가 27만5천141명이었고, 강남 3구 청약자는 2만5천783가구로 전체의 9.4% 수준이었다.

서울 분양 단지는 높은 분양가 탓에 도전하기 어렵고, 부양가족은 적은 20∼30대 청년의 경우 70점대까지 올라간 당첨 합격선을 채우기는 더욱이나 어려워졌다.

작년에는 서울 강남3구 분양만 뜨거웠을 뿐 지방 분양시장은 침체하며 양극화가 깊어졌다.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5천146가구이고,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1만8천644가구로 2020년 7월 이후 4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다 보니 '청약 포기'가 잇따랐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통계를 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천648만5천명으로 1년 전(2천703만9천명)보다 55만4천명 감소했다.

특히 가입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납부 금액도 많은 1순위 가입자가 지난달 말 1천764만6천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7만4천명 줄었다.

2순위(883만9천명)는 같은 기간 2만명 늘었다.

2010년 이후 매년 증가했던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022년 6월 말 2천859만9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3년 연간 가입자는 85만5천명, 2022년에는 42만3천명 줄었다.

2022∼2024년 3년간 감소한 가입자가 183만명 수준이다.

정부는 청약통장 해지자를 줄여보려 지난해 청약통장 금리를 2022년 11월(0.3%포인트), 2023년 8월(0.7%포인트), 2024년 9월(0.3%포인트) 세 차례에 걸쳐 인상했다. 현재 금리는 연 2.3∼3.1%다.

올해부터는 청약통장의 소득공제 한도를 연 300만원으로 늘리고, 신혼부부가 출산하면 특별공급 기회를 1번 더 주는 등 청약 혜택을 늘리고 있다.

그런데도 청약통장 가입자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감소하는 건 정부엔 부담 요소다.

임대주택 공급과 디딤돌·버팀목 대출 같은 정책대출 등에 활용하는 주택도시기금의 핵심 재원이 바로 청약통장 납입금이기 때문이다. 돈 쓸 곳은 갈수록 많아지는 데 돈이 들어오지 않는 상황이다.

주택도시기금 운용 잔액은 2022년 3분기 41조2천21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 21조921억원으로 반 토막 났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40,000 ▼51,000
비트코인캐시 706,500 ▲3,000
이더리움 4,021,000 0
이더리움클래식 25,010 ▲80
리플 3,840 ▲29
퀀텀 3,071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00,000 ▲50,000
이더리움 4,020,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5,030 ▲70
메탈 1,074 ▼2
리스크 607 ▲5
리플 3,840 ▲33
에이다 986 ▲7
스팀 19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40,000 ▼20,000
비트코인캐시 707,500 ▲3,500
이더리움 4,021,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00 ▲60
리플 3,841 ▲26
퀀텀 3,115 0
이오타 261 ▲1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