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정권 연장 48.6%·정권 교체 46.2%…국민의힘 46.5%·민주 39.0%

메뉴

정치사회

정권 연장 48.6%·정권 교체 46.2%…국민의힘 46.5%·민주 39.0%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1-20 11:08

권영세비상대책위원장과이재명대표/사진=연합뉴스
권영세비상대책위원장과이재명대표/사진=연합뉴스
(더파워뉴스=이경호 기자) '정권 연장론'과 '정권 교체론'의 격차가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6일과 17일 양일간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2,877명에게 통화를 시도해 최종 1,004명이 응답을 완료한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 조사에서,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 의견이 7.4%P 상승한 48.6%,‘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은 6.7%P 하락한 46.2%를 기록, 두 의견 간 차이는 2.4%P로 오차범위(±3.1%P)내 차이를 보였다.

일주일 전 조사와 비교해 정권 연장론은 7.4%포인트(p) 상승했고, 정권 교체론은 6.7%p 하락했다. 지난주 11.7%p였던 두 의견 간 차이는 오차범위 내인 2.4%p로 좁혀졌다.

리얼미터 관계자는 "지난 한달 전부터 정기적으로 실시한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는 12월 4주차 첫 조사에서 ‘야권 정권 교체론’이 ‘여당 정권 연장론’보다 거의 2배 가량 우세한 결과를 보였으나, 이후 두 의견 간 격차는 매 주 좁혀지면서 한달 만에 ‘정권 연장 대 정권교체’프레임이 팽팽하게 맞서는 흐름이 전개됐다"고 분석했다.

권역별로는 대구·경북(정권 연장 60.5%, 정권 교체 34.2%)과 부산·울산·경남(53.4%, 43.8%) 등 영남권에서 정권 연장론이 강했고, 호남권(34.9%, 58.3%)과 충청권(42.3%, 52.8%)에서는 정권 교체론이 우세했다. 인천·경기(50.8%, 44.7%)와 서울(47.3%, 46.0%) 등 수도권에서는 두 의견 차가 크지 않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70세 이상(정권연장 61.0% vs 정권교체 32.2%), 60대(57.4% vs 34.2%), 20대(52.7% vs 43.9%)에서 정권연장 의견이 우세했고, 50대(37.3% vs 57.2%)와 40대(36.7% vs 59.9%)에서는 정권교체론이 우세했다.

지지정당별로 국민의힘 지지층 내에서의 92.6%가 정권연장론에,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내에서의 92.6%는 정권교체론이 매우 강했다. 무당층에서는 정권연장(37.7%)보다 정권교체(44.2%) 의견이 더 많았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92.6%가 정권 연장론을,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92.6%가 정권 교체론을 지지했다. 무당층에서는 정권교체(44.2%) 의견이 정권 연장(37.7%)보다 많았다.

정권 연장 48.6%·정권 교체 46.2%…국민의힘 46.5%·민주 39.0%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46.5%로 5.7%p 상승했고, 더불어민주당이 39.0%로 3.2%p 하락했다.

지난주 1.4%p로 오차범위 내에 있던 양당 지지도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7.5%p로 벌어졌다.

리얼미터는 "양당 지지도 차이는 지난해 7월 셋째 주 이후 6개월 만에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오차범위 밖으로 앞섰다"고 분석했다.

리얼미터는 이어 "국민의힘 지지율은 5주 연속 상승했고, 40% 중반대 회복은 약 11개월만"이라며 "민주당 지지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약 5개월 만에 40% 선이 붕괴했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광주·전라(9.5%p↑), 대구·경북(8.6%p↑), 인천·경기(7.7%p↑), 서울(5.8%p↑), 여성(6.5%p↑), 남성(5.0%p↑), 40대(11.8%p↑), 50대(8.3%p↑), 30대(7.9%p↑), 60대(6.8%p↑), 20대(3.6%p↑), 중도층(4.5%p↑)에서 상승했다.

민주당 지지도는 인천·경기(6.9%p↓), 광주·전라(6.3%p↓), 대구·경북(5.1%p↓), 부산·울산·경남(4.7%p↓), 남성(3.1%p↓), 여성(3.1%p↓), 30대(9.8%p↓), 60대(7.6%p↓), 40대(6.5%p↓), 50대(5.4%p↓). 중도층(4.9%p↓)에서 하락했고, 대전·세종·충청(14.9%p↑)에서는 상승했다.

이밖에 조국혁신당은 4.2%, 개혁신당은 1.9%, 진보당은 0.7%로 나타났다.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6.5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7.8%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90,000 ▼12,000
비트코인캐시 690,500 ▲1,500
이더리움 3,98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4,390 ▲70
리플 3,693 ▲31
퀀텀 3,022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97,000 ▼5,000
이더리움 3,981,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390 ▲70
메탈 1,058 ▲3
리스크 600 ▲2
리플 3,694 ▲31
에이다 950 ▲2
스팀 191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3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692,500 ▲5,000
이더리움 3,976,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310 ▲100
리플 3,692 ▲34
퀀텀 3,053 ▲56
이오타 24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