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빌라 전세 0.6% 오를때 매매 1.0% 상승…월세는 1.3%↑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서울 빌라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비(非)아파트 시장이 바닥을 치고 올라오며 빌라 매매·전세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매매가격 상승 폭이 좀 더 큰 영향이다.
27일 한국부동산원 임대차 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지역 연립·다세대(빌라)의 전세가율은 평균 65.4%로, 1년 새 3.1%포인트 하락했다.
서울지역 빌라 전세가율은 2022년 12월 78.6%까지 높아졌다가 2023년 12월 68.5%로 떨어졌다.
작년에는 빌라 전세가율이 상반기 72%(5월)로 높아졌다가 6월부터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지난해 10월 전세가율은 2022년 8월 부동산원이 전세가율 집계를 공개하기 시작한 이후 최저치인 64.5%를 기록하기도 했다.
부동산원은 최근 3개월간 매매·전세 실거래 자료를 바탕으로 매월 전세가율을 집계한다.
최근 빌라 전세가율이 하락하는 것은 매매가격이 전세가격보다 더 큰 폭으로 오르고 있어서다.
빌라 전세가격은 전세사기 여파로 나타난 '전세 기피 월세 선호 현상'과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요건 강화로 상승이 제한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가격지수는 지난해 5월부터 12월까지 8개월 연속 상승했다. 작년 한 해 동안 누적으로 0.63% 올라 3년 만에 상승 반전했다.
연립·다세대 전세가격지수는 2022년 2.51%, 2023년 3.42% 하락했었다. 지난해 연립·다세대 매매가격지수는 1.03% 상승해 전세가격보다 오름폭이 컸다. 가장 크게 오른 건 빌라 월세다. 2023년 0.33% 하락했으나 지난해 연간 1.32% 상승했다.
서울에서 전세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지난달 기준으로 강서구(74.3%), 영등포구(73.7%), 송파구(73.0%)다. 낮은 곳은 용산구(46.1%), 중구(57.0%), 노원구(59.8%)다.
경기 지역 빌라 전세가율은 2023년 12월 69.4%에서 지난해 12월 67.5%로 1.9%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인천 전세가율은 76.7%에서 80.2%로 외려 높아졌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