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사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해당 관세 정책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4월 2일에 공식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관세율을 25%로 설정할 계획이라면서도, 반도체와 의약품에는 25% 이상이 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관세는 1년에 걸쳐 더욱 인상될 것"이라며 단계적인 세율 조정을 시사했다.
다만, 기업들이 미국으로 생산 거점을 옮길 시간을 제공하겠다는 입장도 함께 내비쳤다. 그는 “기업들이 미국 내에 공장을 세우면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것이므로, 그들에게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고 설명했다. 이는 기업들이 미국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예 기간을 두고, 점진적으로 관세를 강화해 압박을 높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반도체 및 자동차 관련 기업들이 미국 내 투자 계획을 수주 내 발표할 것이라고 예고했지만, 구체적인 기업명은 공개하지 않았다.
유럽연합(EU)의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선 "EU는 이미 자동차 관세를 우리와 같은 수준으로 낮췄다"며, 기존 10%였던 EU의 미국산 자동차 관세가 현재 2.5%로 조정되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는 "EU는 여전히 미국과의 무역에서 3,500억 달러의 적자를 보고 있으며, 미국산 자동차와 농산물을 거의 수입하지 않는다"면서 EU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베네수엘라가 셰브런 등 미국 석유 기업을 통해 원유 수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허용할지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어쩌면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는 지금 이를 들여다보고 있다"고 언급하며, 바이든 행정부가 완화했던 베네수엘라 제재를 다시 강화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한편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국내정책 담당 보좌관에 체외인공수정(IVF·시험관) 시술을 할 수 있는 접근권을 보호하고 환자의 관련 비용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90일 내로 권고하라고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