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가 최근 10년간 라면과 건강식품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7일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의뢰해 분석한 ‘10년간 K-푸드 수출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류의 확산과 건강식 트렌드 영향으로 K-푸드 수출액이 2015년 35.1억 달러에서 2024년 70.2억 달러로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라면’이 13.6억 달러로 가장 높은 수출액을 기록했으며, 이어 ‘간편식’(9.8억 달러), ‘음료’(9.4억 달러), ‘건강식품’(8.2억 달러), ‘조미료’(6.5억 달러) 순이었다.
K-푸드 수출은 지난 10년간 연평균 8.0% 성장했으며, 특히 최근 5년간(2020~2024년) 성장률은 9.0%로 더욱 가속화됐다. 품목별 성장률에서는 ‘라면’이 연평균 20.1%로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고, 이어 ‘건강식품’(11.9%), ‘조미김’(11.3%) 순으로 나타났다.
라면은 K-컬처(불닭볶음면 SNS 확산), 전자상거래 활성화, 코로나19 이후 가정 간편식 선호 추세 등에 힘입어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며 작년 수출액 13.6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 기준 세계 라면 수출시장에서 20.6%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한국이 글로벌 1위 수출국으로 자리 잡았다.
K-푸드 주요 수출국으로는 미국이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중국, 일본 순으로 나타났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1위 수출국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바뀌었으며, 베트남(6위 → 4위), 필리핀(7위 → 5위) 등 동남아 국가들이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일본은 수출 규모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문정훈 서울대 교수는 “미국과 필리핀을 비롯한 동남아 시장에서 한류의 영향력이 커지고, 건강식품 선호 트렌드가 지속되면서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K-푸드가 코스트코와 같은 대형 유통매장에 입점하면서 유통망이 확대되었고, K-푸드 프랜차이즈 매장 증가 및 현지 마케팅 강화가 수출 성장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K-푸드 수출 상위 20개국 중 성장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네덜란드(26.5%)였으며, 이어 독일(23.1%), 몽골(18.7%), 영국(17.9%), 태국(16.2%) 순이었다.
한국무역통계진흥원 관계자는 “네덜란드는 유럽 내 물류 허브 역할을 하는 국가로, K-푸드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며, “향후 네덜란드와 같은 물류 중심 국가를 전략적 거점으로 삼아 유럽 시장 공략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역별로 보면 중국·동남아 등 아시아가 전체 K-푸드 수출의 57.0%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였고, 이어 북미(23.6%), 유럽(11.1%) 순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성장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북미(14.3%)였으며, 유럽(12.9%), 남미(11.2%)가 뒤를 이었다.
김민석 대한상의 유통물류정책팀장은 “현재 K-푸드 수출이 특정 지역과 품목에 집중되는 현상이 있다”면서, “올해 국내외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한류와 K-푸드 인기를 기회 요인으로 활용해 수출 지역 및 품목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상의는 수출 기업들이 겪는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대정부 건의 기능을 강화하고, 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