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 임대차 시장의 ‘월세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높은 전셋값과 금리 부담, 전세사기 여파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월세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며, 올해 1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28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서울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차 계약은 총 23만3,958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월세 계약은 15만1,095건(64.6%)으로,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임대차 계약 10건 중 6건 이상이 월세 또는 보증부 월세라는 의미다. 이는 대법원에 확정일자 정보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의 월세 전환 속도는 최근 몇 년 새 급격히 빨라졌다. 2021년까지만 해도 연평균 40%대에 머물던 월세 비중은 역전세난과 전세사기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한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53%, 56%로 치솟았다. 지난해에는 평균 60.3%까지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고, 분기별로는 지난해 2분기 59.1%, 3분기 60.3%, 4분기 61.2%에 이어 올해 1분기에는 65%에 육박했다.
이 같은 현상은 전셋값 상승세와 맞물린 금리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2∼3년 전 심각했던 역전세난이 진정된 이후 공급 부족 우려가 부각되며 전셋값이 다시 오르고 있다. 여기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인하가 지연되면서, 보증금 부담을 월세로 돌리는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빌라 등 연립·다세대 주택은 전세사기 우려로 고액 보증금을 기피하는 현상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되며, 월세 전환이 더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기준이 강화되면서, 보증금을 줄이고 일부를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빌라 매매가격 하락으로 보증금 가입 기준(공시가격의 126%)을 맞추기 위해 이 같은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
전국적으로도 월세 비중은 서울뿐 아니라 주요 대도시 전반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제주도의 월세 비중은 80%에 달했으며, 대전(68.5%), 울산(68.0%), 부산(66.5%) 등 주요 지역도 서울보다 높은 월세 비중을 기록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전세 시장이 4월 들어 계절적 비수기에 접어들며 거래가 줄어든 만큼, 일부 급한 집주인들은 보증부 월세를 다시 전세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전세에서 월세로의 구조적 전환 흐름은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는 고금리와 주택 공급 불균형, 임대차 시장 구조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