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22 (화)

더파워

제주포럼 ‘트럼프 2기의 중동 평화 전망 및 한국 역할’ 주제로 진행

메뉴

경제일반

제주포럼 ‘트럼프 2기의 중동 평화 전망 및 한국 역할’ 주제로 진행

최성민 기자

기사입력 : 2025-05-29 14:14

제주포럼 ‘트럼프 2기의 중동 평화 전망 및 한국 역할’ 주제로 진행
(더파워뉴스=최성민 기자) 제20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이 지난 5월 28일, 중동 정세를 주제로 한 특별 세션을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재)한국-아랍소사이어티는 2008년 설립된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한국과 아랍 22개국 간 문화·경제·학술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포럼 행사는 한국-아랍소사이어티가 카타르 싱크탱크 국제중동위원회(Middle East Council on Global Affairs),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서아시아센터와 공동으로 주최했다.

이번 포럼에 전·현직 외교관 및 한-중동 학자들을 초대하여 ‘트럼프 2.0 시대 중동 평화의 전망과 한국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세션을 진행했으며, 외교단, 전문가, 학생 등 50여 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한국-아랍소사이어티 김창모 사무총장은 개회사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1기와 달리, 하마스와의 협상 시도, 이란 핵 합의 복원 노력, 시리아 제재 완화 등 변화된 접근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중동 정세를 조망하고 한국의 역할을 논의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압둘라 사이프 알누아이미 주한UAE대사는 환영사를 통해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방문은 중동의 지정학적 중요성과 장기적 안정과 대화를 위한 지속적인 국제사회 참여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고 언급하면서 중동 전역의 평화, 안보를 위해 아랍에미리트가 기울이는 노력을 소개하였다.

외교부 정광용 아프리카중동국장은 축사에서 한국 정부가 유엔 비상임이사국으로서, 그리고 인권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 활동을 통해 중동 평화 증진에 외교적 노력을 해왔다고 밝히며, 문화·헬스케어·스포츠·첨단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랍국가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첫 발표자인 마영삼 전 주이스라엘·팔레스타인 대사는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 아래 중동 관여는 줄이되 실리를 추구하고, 이란 압박은 지속할 것이라 전망했다. 아브라함 협정 확대는 추진하되, 이스라엘-사우디 수교는 가자지구 안정화 이후에나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앙투안 아잠 주한 레바논 대사는 종파주의, 부패, 외세 개입 등으로 인한 레바논의 복합적 위기를 설명하며, 조셉 아운 대통령이 제안한 헤즈볼라의 자발적 무장해제 및 레바논군 편입 방안을 언급했다. 그는 레바논의 미래는 내부 개혁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적극적 참여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오만 학자 압둘라 바아부드는 미-이란 핵 협상이 교착 상태지만, 제한적 농축 허용, 비축량 감축, 사찰 강화, 단계적 제재 완화가 현실적 타협안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JCPOA의 ‘스냅백’ 조항 만료를 앞두고 상호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발표자인 구기연 서울대 교수는 한국의 중동 협력이 다층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유엔 안정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서의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이어 문화·청년 교류, 전문가 양성, 연구 네트워크 확대, 투자 활성화, 인도적 지원을 한-중동 협력 5대 전략으로 제시했다.

한국-아랍소사이어티는 이번 중동 세션 외에도 추후 한-중동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한-중동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랍영화제, 한-아랍 스타트업 공모전, 아랍문화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9.94 ▼40.87
코스닥 812.97 ▼8.72
코스피200 428.05 ▼6.51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99,000 ▼586,000
비트코인캐시 702,000 ▼12,000
이더리움 4,964,000 ▼97,000
이더리움클래식 31,750 ▼610
리플 4,697 ▼74
퀀텀 3,311 ▼6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28,000 ▼534,000
이더리움 4,965,000 ▼96,000
이더리움클래식 31,710 ▼530
메탈 1,126 ▼17
리스크 654 ▼10
리플 4,704 ▼65
에이다 1,173 ▼31
스팀 211 ▼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000,000 ▼520,000
비트코인캐시 702,000 ▼11,500
이더리움 4,965,000 ▼95,000
이더리움클래식 31,810 ▼440
리플 4,695 ▼73
퀀텀 3,311 ▼45
이오타 31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