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2 (토)

더파워

LG전자, “HVAC으로 시장보다 2배 빠르게”…AI 시대 맞춘 냉각 솔루션 강화

메뉴

산업

LG전자, “HVAC으로 시장보다 2배 빠르게”…AI 시대 맞춘 냉각 솔루션 강화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7-08 14:34

AI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으로 주목 받는 초대형 냉방기 '무급유 인버터 터보 칠러'
AI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으로 주목 받는 초대형 냉방기 '무급유 인버터 터보 칠러'
[더파워 유연수 기자] LG전자가 AI 시대를 맞아 급성장하는 냉난방공조(HVAC) 시장에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며, 시장 성장 속도의 2배에 달하는 압축성장을 추진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특히 데이터센터용 액체냉각 솔루션을 중심으로 B2B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매출 구조도 하드웨어(HW)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Non-HW) 중심으로 전환해 질적 성장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LG전자는 8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ES사업본부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데이터센터 전용 HVAC 전략과 글로벌 공조사업 확장 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재성 ES사업본부장을 비롯해 ES연구소장, SAC사업부장이 참석했다.

이재성 본부장은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연산으로 발열량이 크기 때문에 액체냉각 솔루션이 필수적”이라며 “연내 상용화를 마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공급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데이터센터향 수주를 전년 대비 3배 이상 확대하고, 시장 평균보다 2배 빠른 성장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실제 LG전자는 칩을 직접 냉각시키는 ‘CDU(Coolant Distribution Unit)’ 방식의 액체냉각 솔루션을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나섰다. 해당 솔루션은 공간 효율성과 에너지 절감 효과를 동시에 갖춘 차세대 기술로, AI 데이터센터의 냉각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인다. 가상센서, 인버터 펌프 등 자체 기술도 집약됐다.

LG전자는 이를 위해 평택 칠러공장 내 AI 데이터센터 전용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LG유플러스와 액체냉각 기술 검증도 병행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 기반의 예측 냉각 기술도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칠러 사업도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외연을 확장한다. 대형 건물에 주로 쓰이던 초대형 칠러를 AI 데이터센터, 클린룸, 스마트팜 등 신규 수요처에 공급해 2년 내 매출 1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특히 고효율 인버터 스크롤 칠러는 북미 배터리공장, 국내 화학플랜트 등에 납품되며 전년 대비 30% 이상 성장했다.

환경 규제에도 적극 대응 중이다. LG전자는 지구온난화지수가 낮은 R32 냉매 적용 제품을 출시해 탄소배출 저감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사업 구조 혁신에도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R&D부터 생산, 판매, 유지보수까지 아우르는 ‘현지 완결형 밸류체인’을 글로벌 거점 중심으로 구축해 현지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한다. 북미에는 덕트형 유니터리 제품, 유럽에는 히트펌프, 글로벌 사우스 지역에는 초고효율 칠러 등 지역 맞춤형 전략도 병행 중이다.

또한 비하드웨어 분야 매출 비중도 확대한다. 현재 전체 매출의 10% 수준인 Non-HW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AI 기반 건물 에너지 제어 솔루션 ‘비컨(BECON)’과 유지보수 서비스, 구독형 모델 등이 핵심이다.

이와 함께 인수합병을 통한 포트폴리오 확장도 병행된다. LG전자는 최근 유럽 프리미엄 온수 솔루션 기업 ‘OSO’의 지분 100%를 인수해 유럽 HVAC 사업 확장에 나섰다. 향후에도 3B(빌드·보로우·바이) 전략을 바탕으로 인접 분야 인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오는 2030년까지 HVAC 사업에서 연매출 20조원을 달성한다는 중장기 목표도 제시했다. B2B 기반의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며, AI 시대에 걸맞은 기술혁신과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32,000 ▼22,000
비트코인캐시 688,500 ▼15,000
이더리움 3,990,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4,650 ▼240
리플 3,761 ▼11
퀀텀 3,023 ▼4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76,000 ▲6,000
이더리움 3,987,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670 ▼240
메탈 1,074 ▼7
리스크 628 ▲12
리플 3,768 ▼11
에이다 966 ▼9
스팀 196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60,000 ▼50,000
비트코인캐시 688,500 ▼15,500
이더리움 3,984,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660 ▼240
리플 3,758 ▼13
퀀텀 3,037 ▼55
이오타 25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