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덕진구 우아1동 주민센터에서 ‘전주역세권 개발사업 관련 주민설명회’ 개최
LH, 교통개선 대책을 포함한 사업계획 절차, 2027년 보상, 2034년 준공 계획
▲8일 전주시가 덕진구 우아1동 주민센터에서 ‘전주역세권 개발사업 관련 주민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사진=전주시)
[더파워 이강율 기자] 전북 전주시가 수년간 멈췄던 지역 현안인 ‘전주역세권 개발사업’을 지역정치권과 유관기관 간의 지속적인 대화로 재추진한다.
시는 8일 덕진구 우아1동 주민센터에서 정동영 국회의원(전주시 병·더불어민주당)과 윤동욱 전주시 부시장, 송영환 LH 한국토지주택공사 전북본부장, 장재마을 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주역세권 개발사업 관련 주민설명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주민설명회는 전주역세권 인근 약 106만㎡ 부지에 임대주택 공급 등을 담당할 LH와 전주시로부터 향후 추진 일정을 공유하는 자리로 채워졌다.
그동안 난색을 표했던 LH는 교통개선 대책을 포함한 사업계획을 내부 의사 결정을 거쳐 올해 말까지 국토교통부에 지구계획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지구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LH는 2027년도부터 보상 등 본격적으로 사업 절차에 착수해 2034년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도 외부 교통개선 대책으로 △초포다리로 확장(1.8㎞, 2→4차로) △전진로 확장(0.6㎞, 4→6차로) △동부대로변 진입로 확장(2개소, 총 0.4㎞, 2→4차로)을 LH 전액 부담으로 사업계획에 반영했다.
특히 최대의 관심사인 동부대로 지하차도 개설에 대한 LH의 분담 비율도 상향 조정하는 성과를 거뒀다.
시는 이 같은 성과에 정치권의 역할이 크게 작용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당장 전주역세권 개발사업은 2018년 12월 국토교통부로부터 공급촉진지구로 지정됐지만 주택공급 정책 변화로 인해 2021년 1월부터 사업이 중단된 상태였다.
민선 7기 동안 답보 상태에 머물렀던 이 개발사업은 민선 8기 우범기 전주시장이 취임하면서 활기를 띠었다.
시는 동부권의 균형 발전과 생활 여건 개선 필요성에 공감, 사업 재개를 위해 2022년 7월부터 LH는 물론, 상위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해왔다.
시는 대규모 개발사업인 만큼 사업 추진에 있어 핵심 과제로 떠오른 외부 교통 개선 대책 협의에도 힘을 쏟았다.
여기에는 정동영 의원의 적극적인 중재와 지원이 있었고, LH와의 외부 교통개선 대책 협의가 신속하게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면 전주역세권 인근 덕진구 우아동, 호성동 인근 약 106만㎡ 부지에 임대주택을 포함해 약 7000세대 규모의 주거단지가 조성된다.
정동영 국회의원은 "멈춰선 전주역세권 시계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며 "역세권 사업은 전주시의 미래 10년, 100년을 결정할 중요한 성장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결국 전주 발전과 전주시민의 공익이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전주시와 국토부, LH가 다시 손을 맞잡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주시 공영개발과 관계자는 "장기간 사업이 중단되면서 주민들과 토지 소유자 분들의 재산권 행사 등에 많은 불편을 겪으신 점이 매우 안타깝다"며 "앞으로는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시민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성공적인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